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연예계 방송 조작 의혹

"'프듀' 조작 인정, 연습생 피해 우려"…안준영 등 첫 공판준비기일 불출석 [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엑스포츠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엑스포츠뉴스 김예나 기자] 엠넷 '프로듀스' 시리즈 투표 조작 논란과 관련해 재판에 넘겨진 안준영 PD, 김용범 CP 등 제작진 및 연예기획사 관계자들이 공판준비기일에 불출석했다. 이들을 대리한 변호인들은 혐의 사실 대부분 인정하면서도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비공개 재판을 요청했다.

20일 오전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1부(부장판사 김미리)는 업무방해와 사기 혐의로 구속기소된 안준영 PD, 김용범 CP, 보조 PD 이모 씨, 가요기획사 임직원 5명을 상대로 첫 공판준비기일이 열렸다. 이날은 공판 기일을 앞두고 증거나 향후 절차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이므로 피고인의 출석 의무가 없다. 이에 피고인 전원 참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진행됐다.
엑스포츠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검찰에 따르면 안준영 PD는 '프로듀스' 시즌1에서 1차 투표를 조작하고 업무방해를 한 혐의를 인정했다. 당시 안준영 PD는 61위 안에 있던 2명을 빼고 다른 2명을 넣었다. 안준영 PD는 시즌2에서도 역시 1차 투표 조작을 인정하고 업무방해 혐의를 받았다. 김용범 CP는 그룹 워너원 선발 최종 투표를 조작하고 11위 밖에 있던 1명을 데뷔시켰다.

시즌3에서는 안준영 PD와 김용범 CP가 최종 생방송 20명 중 12명 순위를 임의로 정한 후 득표비율에 따라 임의로 정한 득표수를 방송에 내보낸 뒤 아이즈원으로 데뷔시켰다.

더불어 이들은 CJ ENM 업무를 방해한 혐의도 받고 있다. CJ ENM은 국민프로듀서 46만명 이상으로부터 3천6백만원 상당을 벌어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시즌4인 '프로듀스X' 출신 엑스원 데뷔에 있어서도 조작이 드러났다. 검찰은 "제작진은 1차 투표를 조작하고 60위 밖 1명을 안으로 넣었다. 3차 투표에서는 20위 밖의 2명을 안으로 넣어 조작했다. 생방송 투표도 조작해 진출한 20명 중 엑스원으로 데뷔시키고 싶은 11명을 임의로 정해 조작된 투표 결과는 내보냈다. 100원의 유료문자를 통해 8천8백만원 상당의 이익을 거뒀다"고 밝혔다.

안준영 PD는 연예기획사들로부터 유흥업소 접대를 받고 배임수재혐의도 인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찰은 "방송이나 편집에 유리하게 해달라는 것을 알면서도 부정청탁 대가로 술이나 금품을 얻고 재산상 이득을 취했다"고 공소장에 적시했다.

아울러 연예기획사 관계자 5인이 제공한 향응 액수와 300만원 초과 금품을 제공한 일체도 공개됐다. 검찰은 "포렌식 내용이 많다. 수사 기록이 9천장 정도"라고 밝혔다.
엑스포츠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안준영 PD와 김용범 CP, 보조PD 이모 씨의 변호인은 "대체로 공소 사실은 인정하지만 금품수수액과 범행동기는 일부 사실과 다르다"며 추후 변론할 것을 알렸다.

이어 "연습생들이 오해를 많이 받고있다. 이어질 공판을 비공개로 진행했으면 한다"고 요청했고, 재판부 역시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그 부분을 염두에 두고 조율하겠다"고 밝혔다.

각 연예기획사 변호인들도 기본적인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구체적 내용에서 입장 차이가 있다고 주장했다.

2차 공판준비기일은 내년 1월 14일 오전 10시 20분으로 예정됐다.

한편 앞서 서울중앙지검 형사6부(부장검사 이영림)는 지난 3일 안 PD와 김 CP를 업무방해와 사기 등 혐의로 구속기소 했다. 보조 PD 이모 씨는 안 PD 등과 같은 혐의, 기획사 임직원 5명은 배임증재·배임수재·청탁금지법 위반 등 혐의로 불구속기소 됐다.

hiyena07@xportsnews.com / 사진=연합뉴스, 엠넷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