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이미숙 〈사진=후너스엔터테인먼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윤지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고소인의 법률대리인 김영상 변호사는 23일 "지난 21일 서울 서초경찰서에 고소장을 접수했다"라면서 소장의 내용을 공개했다.
법률대리인은 '먼저 이미숙은 힘없고 나약한 무명 배우 장자연을 철저하게 농락하고 죽음에 이르게 한 장본인이다. 이미숙은 망인의 죽음까지 이용했지만, 단 한 번의 사과도 하지 않았고 지난 12년간 모르쇠로 일관했다. 더구나 이미숙의 이러한 행동은 17세 연하남 A씨와 불륜행위를 덮기 위한 것에서 시작됐다. 또 이미숙은 20세 연하남 B씨와도 약 2억 원의 지원을 해주며 부적절한 스폰서 관계를 맺었다. B씨는 윤지오와 같은 연기학원을 다니며 이미숙 전 소속사(더컨텐츠)에서 연습생으로 활동한 적 있다. 이미숙과 전 매니저 유모씨가 만든 소위 장자연 문건의 연락책 역할도 담당했다'라고 주장했다.
이어 '2013년 1월 서울중앙지방법원 판결문에 따르면, 이미숙은 2012년 6월 7일 고소인을 상대로 낸 민사소송에서 패소했다. 당시 이미숙은 허위사실로 인해 자신의 명예가 훼손됐다며 고소인과 더컨텐츠를 상대로 각각 5억 원과 10억 원의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했는데, 이는 소송 사기에 해당한다'라며 '장자연 유서라고 잘못 알려진 허위 내용 진술서 역시 이미숙에 의해 유씨가 작성한 것인데, 이 문건으로 인해 장자연이 난처한 상황에 놓이자 이를 돌려달라고 요구했으나 유씨가 이를 거듭 거부하자 협박, 괴로움에 스스로 생을 마감한 것'이라고 했다.
신인 배우였던 고 장자연은 지난 2009년 3월 '고통에서 벗어나고 싶다'라는 유서를 남기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당시 매니저 유씨가 공개한 이른바 장자연 리스트와 장자연 문건에는 어머니 기일에까지 유력 인사들의 술자리에 불려 다니며 원치 않는 성 접대까지 강요받아야 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언론사 사주 등 유력 인사들이 등장했고 경찰이 나서 성 접대를 강요한 의혹이 있는지 17명에 대한 수사를 진행했지만 실체를 밝히지 못했던 사건이다. 2018년 2월 국민청원을 계기로 법무부 산하 검찰 과거사위원회가 검찰에 재수사를 권고했고 재수사가 진행됐다. 고인의 사망 10주기 때 윤지오가 성추행 목격자라고 주장하며 얼굴과 이름을 공개, 진술에 참여했지만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됐고 위증 논란으로 이어졌다.
황소영 기자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