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8만명 이탈한 피식대학…지역 비하 논란 일주일 만에 사과 "무례한 언행 죄송"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주경제

유튜버 피식대학 [사진=메타코미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경북 영양을 방문해 무례한 행동과 발언으로 시청자들을 불쾌하게 만든 유튜버 이용주, 정재형, 김민수가 '지역 비하 논란' 일주일 만에야 사과문을 발표했다.

피식대학 측은 "지난 11일 피식대학 유튜브 채널에 올린 '메이드인 경상도, 경북 영양편'과 관련하여 사과 드린다"며 19일 장문의 사과글을 게재했다.

이용주, 정재형, 김민수는 "여러분께서 질책해 주시는 부분들에 대해 반성의 자세로 모든 댓글을 삭제 없이 읽어 보았다. 신속한 사과가 중요함을 잘 알고 있었으나, 이번 일과 관련된 당사자 분들께 진정성 있는 사과를 직접 드리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했고 또한 충분한 반성이 동반되지 않은 사과문을 통해 저희의 진심이 부족하게 전달되는 것이 걱정되어 숙고 끝에 오늘 사과문을 올리게 되었다"며 일주일 만에야 사과글을 올리게 된 경위를 밝혔다.

그러면서 "'메이드 인 경상도'는 이용주의 지역 정체성을 소재로 한 코미디 콘텐츠다. 이용주 본인이 부산 사람이라고 주장함에 반해 실제 경상도인과의 대면에서 보이는 어수룩함과 위화감을 코미디로 풀어내는 게 기획의도였다. 회차가 진행됨에 따라 경상도 여러 지역의 문물을 경험하는 내용이 추가되며 자연스럽게 지역 홍보적인 내용을 포함하게 되었고, 해당 지역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력에 대해 깊게 숙고하지 못했다"고 반성했다.

또한 "문제가 되었던 영양군 편은 지역의 명소가 많음에도 한적한 지역이라는 콘셉트를 강조하여 촬영 했고 이에 따라 콘텐츠적인 재미를 가져오기 위해 무리한 표현들을 사용했다. 특히 해당 지역 주민과 소상공인에 대한 배려가 부족한 경솔한 표현을 사용했다"며 누리꾼들이 문제로 짚었던 '중국 같다' '특색 없다' '똥물이다' '할머니 맛' 등과 같은 혐오적 표현과 비하 발언 등에 관해서 사과했다. 이들은 "지적해 주신 모든 언급사항에 대해, 코미디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형태로 시청자분들께 여과없이 전달되었고 이 부분 변명의 여지 없이 모든 부분에서 책임을 통감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본 콘텐츠에서 직접적인 언급으로 피해를 겪으신 두 분의 사장님들께 죄송하다는 말씀드린다"며 "콘텐츠에서 직접 언급하여 문제가 된 제과점과 백반식당에 피식대학의 이용주, 정재형, 김민수가 방문하여 사과를 드렸다. 제과점 사장님께 점내에서의 무례한 언행들과 배려 없는 맛 평가에 대해 깊게 사죄드렸다. 감사하게도 사장님께서 먼저 동석하여 이야기를 나누자고 하셨고 사장님께서 본인은 괜찮으시다며 넓은 아량으로 저희를 용서해 주셨다. 다시 한 번 감사 드리고 죄송하다"고 고개 숙였다.

이어 "백반식당 사장님께도 저희의 무례함에 대해 여러 차례 사과 드리며 이번 일로 인해 저희의 부족함을 인지하게 되었고 더 나은 사람이 되겠다고 말씀드렸다. 이에 사장님께서는 우리 모두 실수를 하는 사람이다, 첫 번째는 실수이지만 두 번째는 잘못이 되니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말라는 질책과 함께 다독여주셨다"고 덧붙였다.

또 "피해와 심려를 끼친 영양군민, 영양에서 근무하고 계신 공직자와 한국전력공사 분들께 죄송하다"며 "마음의 상처를 드렸고 여지없이 죄송합니다. 영양군과 영양군의 특산품에 대해서도 경솔한 발언을 해 불쾌한 감정을 들게 했습니다. 영양군을 삶의 터전으로 살아가시는 영양군 주민께 진심으로 머리 숙여 사죄드린다"고 인사하며 영양군청에 연락해 추후 어떤 형태로든 잘못을 바로잡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시청자들에게 "코미디 채널로서 저희를 바라봐 주시고 재미있게 시청해 주시고 응원해 주신 많은 분께 불쾌함과 실망감을 전달드려 진심으로 죄송하다"며 "저희 피식대학은 코미디언입니다. 금번의 일을 계기로 코미디언의 사회적 역할을 다시 한 번 되짚어보도록 하겠다. 좋은 코미디를 만들기 위해 그간 많은 노력을 해왔지만 아직 부족한 것 같다"고 반성했다.

한편 피식대학 측은 사과글 게재와 동시에 해당 콘텐츠를 비공개 처리했다. 현재 8만명의 구독자가 이탈했다.

아주경제=최송희 기자 alfie312@ajunews.com

- Copyright ⓒ [아주경제 ajunews.com] 무단전재 배포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