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선업튀' 송건희 "'인소 남주' 연기 강동원 '늑대의 유혹' 다시 봐" [N인터뷰]①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tvN 선재 업고 튀어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윤효정 기자 = 배우 송건희가 '인소'(인터넷 소설) 남자 주인공을 연기한 소감을 밝혔다.

tvN 월화드라마 '선재 업고 튀어'(극본 이시은/연출 윤종호)에서 김태성 역할로 출연 중인 송건희는 최근 뉴스1과 만나 인터뷰를 가졌다.

'선재 업고 튀어'는 삶의 의지를 놓아버린 순간 자신을 살게 해준 밴드 이클립스의 보컬이자 톱배우 류선재(변우석 분)와 그의 죽음으로 절망했던 열성 팬 임솔(김혜윤 분)의 시간 이동 쌍방 구원 로맨스 극.

송건희는 김태성을 연기했다. 10대 소녀 솔이가 좋아한 첫사랑이자,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귀여니 소설 속 남자주인공의 전형을 화면에 옮겨놓은 인물. 송건희는 "네가 내 별이다"와 같은 대사의 '인소 남주' 캐릭터를 살아 움직이게 했다.

송건희는 원작에 없는 인물을 맡아 어려웠지만 동시에 더 자유로울 수 있었다고 했다. 드라마 '스카이캐슬' '미씽' '조선변호사' 등을 지나며 내공을 쌓은 그는 전작과 달리 '선재 업고 튀어'에서는 능글맞으면서도 유쾌한 매력을 풀어놓으며 사랑받고 있다.

-'선재 업고 튀어'의 인기를 실감하나.

▶사실 실감이 안 나고 이게 무슨 일인가 싶고 얼떨떨하다. 나는 그렇게 많이 나오는 것도 아닌데 팔로워가 많이 늘어서 놀랐다. 주변에서 친구들 연락을 많이 받았다. 드라마를 안 보는 친구들인데 '주변에서 네 이야기 많이 한다'면서 연락이 오더라.

-팔로워는 얼마나 늘었나.

▶드라마 초반에는 28만명이었나, 지금은 백만명 정도다. 놀랐다. 내가 청춘물을 한 적이 없으니까 어린 나이의 시청자분들이 알기는 어려운데, 이번에 10대 분들이 많이 봐주신 것 같다. '선업튀'가 잘 되고 동료들, 가족들도 너무 좋아하시더라. 그런 모습을 보고 내가 더 기분이 좋아지더라.

뉴스1

배우 송건희 / 제이지엔터테인먼트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SNS(사회관계망서비스)로 다양하게 소통하더라.

▶트위터를 나름 공부했다고 생각했는데 '길치 짤'이 화제가 돼서 신기했다. 내가 트위터 알람을 켜뒀다가 알람이 계속 울려서 깜짝 놀랐다. 오프라인으로 팬분들을 만날 기회가 많지 않으니까 여러가지 방향으로 소통하고 싶었다.

-김태성은 그동안 연기한 캐릭터와는 결이 많이 달랐다.

▶나 스스로는 그런 캐릭터에 자신이 있었는데, 아마 주변에서는 내가 그런 연기를 할 줄은 몰랐던 것 같다. 많은 분이 저를 착하고 차분한 캐릭터로만 보셔서 태성이 같은 역할이 주어지기 어려웠다. 나 역시도 내가 자신이 있다고 하지만, 그걸 시청자분들이 납득하실 수 있나? 새롭게 느껴져야 하는데 가능할까 그런 고민을 했다.

-김태성을 어떤 인물이라고 생각했나.

▶태성이는 사람을 정말 좋아하는 사람이다. 누군가와 트러블을 만들고 싶지 않은 사람이다. 성숙한 마음도 있지만 마음이 많이 여리다. 표현하는 걸 어려워하고 감정을 드러내는 것도 미숙한 모습이 있다. 태성이 성격 자체는 여유롭고 능글맞은 모습이 있고 임기응변도 강한 면이 있다. 나에게 있는 모습도 있고 여러가지 참고를 했다.

-'인소 남주'(인터넷 소설 남자 주인공) 캐릭터로 볼 수 있는데, 귀여니 소설 등을 참고했나.

▶정확하게 모티브라고 하기는 어렵고 (작가가) 비슷한 느낌의 캐릭터를 쓰고 싶으셨던 것 같다. 태성이라는 이름인데, '늑대의 유혹'의 강동원(정태성 역) 선배님 같은 느낌은 정말 어려울 것 같지만, 발끝이라도 따라가도록 열심히 해보겠다고 했다. '늑대의 유혹'도 다시 봤지만 그 당시 시대상, 사람들의 모습을 많이 보려고 했다. 낭만의 시대라고들 하지만, 그 시대를 현재의 드라마에 접목했을 때 어떤 느낌이 나올지 고민이 되더라. 지금 시청자들이 보는 시선과 제가 표현해야 할 지점 그 중간을 찾아야 한다고 봤다.

뉴스1

배우 송건희 / 제이지엔터테인먼트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네가 내 별이다' '너 잊는 거 그거 어떻게 하는 건데' 오글거리는 대사들을 소화해야 했다.

▶그렇게(오글거리게) 생각하지 않고 대사를 했다. 그래서 더 담백하게 보인 게 아닐까 싶다. '전 여친' 이라는 호칭 등 말로 하면 쉽지가 않다. 나 스스로 그런 느낌을 불편해했으면 보시는 분들도 과하게 느껴졌을 것 같은데, 애초에 불편함이 없어서 연기하는 순간 만큼은 진정성을 담아서 했다.

-코미디 연기에 처음 도전했는데.

▶너무 재미있다. 어렵게 느껴졌는데 제대로 해보니까 어떤 재미가 있는지 알겠더라. 연기할 때도 재미있고 현장도 즐겁다. 노하우는 모르겠고 저는 웃기려고 하는 게 아니라 진짜로 한 거다. 써니(차)가 바다에 빠졌을 때 '안돼' 절규하던 것도 진정성을 담아서 연기했다. 그렇게 연기해서 코미디로 승화된 게 아닐까. 감독님도 너무 웃기려고 하지 말라고 하셨고, 최대한 진실한 감정을 담으려고 했다.

<【N인터뷰】 ②에 계속>


ichi@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