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MZ퀸' 이영지, 예능 넘어 음악도 통했다…첫 앨범 차트 석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진솔한 메시지·듣기 편한 멜로디 어우러져

"콤플렉스 영리하게 풀어내 듣는 이 위로…예능인·아티스트 사이 벽 깼다"

연합뉴스

이영지 첫 미니음반 '16 판타지' 재킷 이미지
[메인스트림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이태수 기자 = 래퍼 이영지가 초여름 가요 시장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그동안 TV 예능 프로그램에서 특유의 털털함과 유쾌함으로 사랑받은 그는 데뷔 후 5년 만에 내놓은 첫 앨범의 타이틀곡 '스몰 걸'(Small Girl)로 쟁쟁한 K팝 아이돌 스타들을 제치고 음원 차트 1위 고지를 밟았다. 그만의 진솔한 메시지를 듣기 편한 멜로디와 함께 풀어내 MZ 세대 음악 팬들의 공감을 끌어냈다는 평이다.

25일 가요계에 따르면 이영지의 첫 미니음반 '16 판타지'(16 Fantasy)의 타이틀곡 '스몰 걸'은 멜론 '톱 100'과 지니뮤직 '톱 200' 등 국내 주요 음원 차트 1위를 석권했다. 각종 음악 프로그램에 출연하지 않고도 이뤄낸 성과다.

'스몰 걸'은 이영지의 매력적인 허스키 음색과 듣기 편한 멜로디가 어우러진 곡이다. 기존의 당당하고 때로는 저돌적이기까지 했던 그의 과거 곡들과는 상반된 분위기를 풍긴다. 특히 엑소의 디오가 피처링으로 참여한 부분은 곡의 분위기를 환기하며 절묘한 조화를 이룬다.

이영지가 직접 작사한 영어 가사도 의미심장하다. 앨범 속 화자인 16살 이영지가 마주했던 '그늘'이 서늘할 정도로 적나라하게 담겼다. 그는 앨범 소개란에 '눈치 없지만 그 누구보다도 용감했던 16살 그때처럼'이라고 적어 노래가 자전적인 이야기임을 암시했다.

연합뉴스

이영지 메인스트림 가수(래퍼)
[연합자료사진] * 인물정보 업데이트 후 현직 변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영지는 '스몰 걸'에서 '만약 내가 작은 볼과 밝은 핑크색 입술을 가졌으면 네가 나한테 키스하고 싶었을까? (중략) 글쎄, 전혀 / 나한텐 전혀 일어날 수가 없는 일들이야 / 나는 키가 큰 여자니까'라고 노래했다. 그러면서 '그래도 날 사랑해줄래?'라고 되묻는다.

170㎝대 중반의 장신으로 유명한 그는 자신의 '큰 키'라는 나름의 약점을 솔직하면서도 편안하게 노래로 풀어냈고, 음악 팬들은 이에 호응했다.

정민재 대중음악평론가는 "이 노래는 결국 콤플렉스에 관한 이야기"라며 "콤플렉스가 없는 사람은 거의 없을 테니, 이 노래는 사람들을 위로하는 동시에 그들에게 연대하자는 메시지를 준다. 이영지가 자기 이야기를 영리하게 잘 풀어냈다"고 평가했다.

이영지는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스몰 걸'을 사랑해주는 모든 이들아 고마워!"라며 "우리는 사랑 앞에서 늘 허둥대기 마련이거든. 내가 평소 좋아했던 내 모습들도 갑자기 걱정되고 의심스러워지는 순간이 오잖아. 그런 모든 순간에 다정하게 밴드를 붙여줄 누군가가 내 곁에 있어 준다면 참 좋겠다 그치? 그게 나 자신이 될 수 있다면 더 좋고!"라고 발매 소감을 올렸다.

이영지는 국내 여성 래퍼 가운데 처음으로 힙합 경연 프로그램 '고등래퍼 3'(2019년)과 '쇼 미 더 머니 11'(2022년)에서 우승하며 이름을 알렸다.

그러나 한동안 본업인 가수보다는 예능 스타 이미지가 더 강했다. '뿅뿅 지구오락실' 같은 예능 프로그램에서 인기 연예인답지 않게 털털하면서도 어디로 튈지 모르는 재치 있는 모습, 동료 출연자와 끈끈하면서도 재미를 놓지 않는 '케미' 등을 보여줬기 때문이다.

연합뉴스

폐회식 축하무대 꾸미는 이영지
(강릉=연합뉴스) 양지웅 기자 = 2월 1일 강원 강릉시 올림픽파크 특설무대에서 열린 2024 강원 동계청소년올림픽 대회 폐회식에서 래퍼 이영지가 축하무대를 꾸미고 있다. 2024.2.1 yangdoo@yna.co.kr


하지만 2019년 '암실'로 정식 데뷔한 이후 5년 만에 내놓은 이번 첫 앨범으로 차트를 석권함으로써 '음악인 이영지'로서 이미지를 확실히 각인시켰다는 평이 나온다.

김윤하 대중음악평론가는 "이영지는 예능인으로 이미지가 확실하게 잡혀 있으면서도 래퍼로서의 자아도 워낙 강한 아티스트이기에 이 사이의 간극을 조절하는 게 자신도 매우 어려웠을 것"이라며 "이번 앨범으로 자기 안에 있는 어떤 '벽' 같은 것을 깨지 않았을까 한다"고 짚었다.

김도헌 대중음악평론가도 "억지스럽게 자신의 실력을 증명하기보다는 전하고 싶은 메시지를 내면서 앨범을 차근차근 쉽게 풀어간 측면이 좋았다"고 말했다.

tsl@yna.co.kr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네이버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