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김재중 "박유천, 내겐 아픈 손가락…안타까움 커" [N인터뷰]③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김재중/인코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김민지 기자 = 가수 김재중이 데뷔 20주년을 맞아 신보 '플라워 가든'(FLOWER GARDEN)을 발표, 2년 만에 국내 가요계에 컴백한다.

김재중은 26일 오후 6시 각종 온라인 음원 사이트를 통해 정규 앨범 '플라워 가든'을 발매한다. 이번 앨범은 김재중이 팬들에게 약속한 데뷔 20주년 앨범이자, 지난해 글로벌 엔터사 인코드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한 뒤 독자적으로 제작한 앨범이라 더욱 큰 관심을 끈다.

신보에는 여름과 잘 어울리는 청량한 무드의 타이틀곡 '글로리어스 데이'를 비롯해 '굿 뉴스', '드림 파티', '소년에게', '소나기', '아이엠 유', '201208' 등 다채로운 장르의 14곡이 수록돼 있다. 이는 그동안 김재중이 발매했던 앨범 중 가장 많은 트랙이 담긴 앨범으로, 김재중은 대부분의 곡 작사에 참여해 이야기에 진정성을 더했다.

또한 김재중은 오는 7월 20일과 21일 '20주년 기념 2024 김재중 아시아 투어 콘서트-플라워 가든 인 서울'을 개최한다. 이번 공연에서 김재중은 타이틀곡을 비롯해 신보의 수록곡 무대들을 선보일 예정이며, 서울을 시작으로 아시아 투어에 돌입하는 등 데뷔 20주년을 팬들과 함께 꽉 채울 계획이다.

특히 이번에 진행된 인터뷰에서 김재중은 데뷔 20주년을 맞아 지난 활동을 되돌아봤고, 솔직한 생각을 전했다. 25일 뉴스1은 김재중을 만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다.

뉴스1

김재중/인코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N인터뷰】②에 이어>

-올해 데뷔 20주년을 맞았는데 돌아보면 어떤가. 위기 속에서 버텨냈던 순간도 많았을 텐데.

▶지금 생각해도 식은땀이 날 것 같을 정도로 위기가 많았다. 늘 위기였는데, 그런 상황에서 어떻게 이를 견디고 넘어서냐가 항상 관건이었던 것 같다. 사실 스스로 항상 안전지대에서 활동하고 있진 않다고 생각했다. 이 때문에 더 단단하고 강해져야 했는데, 그렇지 않아서 주변에 의지하며 살아왔다. 그래서 스스로 독립적인 활동을 할 수 있는 지금의 상황이 감사하다.

-20년을 돌아보며 스스로 '레전드 활동'를 꼽아본다면.

▶동방신기 '허그'가 일단 생각난다. 급조해서 나왔는데 성과가 '레전드급'이었다. 당시 우리가 데뷔하기 직전에 회사가 구조조정을 해서 직원의 반이 나간 상황이었다. 그런 위기 속에서 '허그'가 한 회사를 살리는 성과를 내 '레전드 음악'으로 꼽고 싶다. 또 일본 시장을 뚫기 위해 활동을 집중하다가 오랜만에 한국에 컴백해서 낸 '미로틱' 역시 큰 성과를 거둬 기억이 난다.

뉴스1

김재중/인코드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데뷔 20주년을 맞아 동방신기 멤버들도 많이 생각날 듯한데, 각자 활동하는 걸 보면 어떤가.

▶사실 우리가 완전체로 활동한 것보다 개개인으로 활동한 시간이 길지만, 그래도 멤버들이 잘살고 있는 걸 보면 뿌듯하다. 창민이는 가정을 꾸린 걸 보면서 그 친구 나름의 행복을 찾아가고 있는 것 같아 좋았고, 준수는 항상 일을 똘똘하게 잘하는 걸 알아서 걱정이 안 된다. 다들 잘살고 있어서 나도 뒤처지지 말고 열심히 노력해야겠다고 다짐한다. 유천이는 아픈 손가락이다. 과거로 돌아가는 가정을 하는 걸 좋아하진 않지만, 유일하게 한순간으로 돌아갈 수 있다면 그런 상황이 일어나기 전일 거다. 그때로 가서 제대로 이야기를 해보고 싶다. 팀이 깨진 건 어쩔 수 없지만 잘 사는 모습을 지켜보고 싶었는데 안타깝다.

-동방신기 멤버 중에는 김준수와 제일 깊게 교류하지 않나. 김재중에게 김준수는 어떤 의미인가.

▶나에게도 김준수가 '자부심'이다. 똘똘하게 잘 커서 어디를 가서든 자랑할 수 있는 친구다. 우리가 각자 회사를 설립했는데, 꿈을 꾸고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상황을 서로 지켜볼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좋다. 또 준수와는 서로 화해할 거리가 없다. 가족끼리도 싸우고 화해하는데, 이 친구와는 그런 것도 없다는 게 좋다. 합동 공연도 해보자고 얘기 중이다.

-언제까지 현역으로 활동하고 싶은지.

▶나는 70대까지, 정확히는 71세까지 할 거다. 목표를 크게 잡는 게 좋더라. 또 요즘은 일흔이면 육체적 나이는 쉰 후반 정도 느낌이라 가능하지 않을까. 열심히 하겠다.

breeze52@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