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EBS 신동호 사장. 사진 | MBC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원성윤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26일 임명한 신임 EBS 신동호 사장에 대해 보직간부들이 집단 사퇴를 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EBS 방송제작본부장 등 현직 보직 간부 52명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신임 신동호 사장을 EBS의 사장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강력한 항의의 뜻으로 현직 보직 간부 54명 중 52명이 보직에서 사퇴할 것을 선언한다”고 밝혔다.
이들은 “EBS는 누구의 정치적 소유물도 아니다. 국민 모두의 방송이며, 미래 세대를 위한 공적 자산”이라며 “우리는 그 가치를 지키기 위해, 어떤 외압에도 흔들리지 않고, 오직 공영방송인으로서의 양심과 책임에 따라 행동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EBS 보직간부들은 “방통위의 위법 논란 속 사장 선임 강행이 교육공영방송 EBS의 본질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중대한 사안임을 엄중히 경고하며, 그 절차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구했다”며 “이러한 EBS 구성원의 분명한 입장과 국민적 우려를 끝내 외면했다. 절차적 정당성과 법적 타당성이 결여된 사장 선임이다. 이는 공영방송의 자율성과 독립성을 본질적으로 침해한 것이며, EBS의 정체성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하는 EBS 현직 보직 간부 보직 사퇴 입장문 전문이다.
EBS 현직 보직 간부 보직 사퇴 입장문
우리는 3월 25일, EBS 현직 보직 간부 일동의 이름으로 EBS의 독립성과 정당성을 지키기 위한 결의문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당시 우리는 방송통신위원회의 위법 논란 속 사장 선임 강행이 교육공영방송 EBS의 본질을 심각하게 훼손하는 중대한 사안임을 엄중히 경고하며, 그 절차를 즉각 중단할 것을 강력히 요구하였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위법과 부당함을 묵과하지 않을 것이며, 이를 받아들이는 순간 공영방송 구성원으로서의 양심과 책임을 저버리는 일임을 분명히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는 오늘부로 방송통신위원회가 임명한 신임 신동호 사장을 EBS의 사장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이에 대한 강력한 항의의 뜻으로 현직 보직 간부 54명 중 52명이 보직에서 사퇴할 것을 선언합니다. (단, 독립적 기능을 수행하는 이사회 사무국과 감사실의 보직 간부, 그 외 그래픽디자인부장은 이번 보직 사퇴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EBS는 누구의 정치적 소유물도 아닙니다. 국민 모두의 방송이며, 미래 세대를 위한 공적 자산입니다. 우리는 그 가치를 지키기 위해, 어떤 외압에도 흔들리지 않고, 오직 공영방송인으로서의 양심과 책임에 따라 행동할 것입니다.
2025년 3월 26일
방송제작본부장, 디지털학교교육본부장, 융합기술본부장, 사업센터장, 정책기획센터장, 편성센터장, 경영지원센터장, 영상아트센터장, 심의시청자실장, 수신료정상화추진단장, 정보보호단장, 대외협력국장, 교육비전프로젝트국장, 출판국장, 방송제작기획부장, 교양교육부장, 유아어린이애니부장, 라디오부장, 디지털교육기획부장, 교과콘텐츠부장, 디지털교육서비스부장, 디지털인재교육부장, 기술기획부장, 네트워크기술부장, 영상조명부장, 사운드테크부장, 편집부장, ICT인프라부장, 콘텐츠사업기획부장, 광고사업부장, 협력사업부장, 디지털사업부장, 정책기획부장, 기획예산부장, 조직법무부장, 홍보부장, 편성기획부장, 협력제작부장, 편성운영부장, 글로벌콘텐츠부장, 지식콘텐츠부장, 인사부장, 재무회계부장, 운영관리부장, 공간디자인부장, 영상제작부장, 스튜디오영상부장, 펭TV브랜드스튜디오 프로젝트팀장, 교재기획부장, 교재개발부장, 뉴스부장, 대외협력부장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