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
최고 공직자가 헌법을 대놓고 무시하고,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한국의 우려스러운 상황.
그런데 이러한 걱정이 우리만의 일은 아닙니다.
한 대학이 매년 집계하는 민주주의 지수를 보면 권위주의 국가의 수가 179개 나라 중에서 91곳, 22년 만에 처음으로 민주 국가보다 많아졌는데요.
'독재'와 대척점에 섰던 예술가들은 이 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임소정 기자입니다.
◀ 리포트 ▶
"내 부모의 세계는 죽었어. 네가 무서워해야 할 건 바로 그 세계라고."
파시즘의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한 이탈리아의 한 소도시.
왜소증이 있는 가난한 천재 석공과 책 한 권 마음대로 읽을 수 없는 귀족의 딸이 운명처럼 만납니다.
자유를 갈망하는 주인공들의 파란만장한 삶을 그린 소설 <그녀를 지키다>.
노벨, 부커와 함께 세계 3대 문학상으로 꼽히는 공쿠르상을 받았습니다.
[장 바티스트 앙드레아/작가]
"('그녀를 지키다'는) 독재에 맞선 투쟁의 이야기입니다. 주인공은 모든 사람과, 사회와, 자기 자신에 맞서 싸우죠."
독재자 무솔리니가 통치했던 시절로 시계를 돌린 이유를 묻자, 작가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장 바티스트 앙드레아/작가]
"유럽이 나치즘이란 독재에 지배당하던 시절로 소설의 배경을 설정한 건 자연스러운 일이었어요. 역사는 늘 은밀한 방식으로 반복되기 마련이거든요."
처음으로 방문한 한국에서 광장의 시민들을 봤다는 그는, 어둠의 지배를 막을 힘이 다름 아닌 '우리' 안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장 바티스트 앙드레아/작가]
"독재는 피할 수 없는 게 아니에요. 계속 싸워나가는 게 중요합니다. 그 길만이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퇴행의 전조를 보이는 미국을 경고하며 음악가들은 공연 보이콧까지 선언했습니다.
이번 주말 내한하는 '피아니스트의 교과서' 안드라스 쉬프.
5월에 방한하는 독일의 바이올리니스트 크리스티안 테츨라프 모두 미국 공연을 취소했습니다.
이민자 대량 추방을 요구하고 캐나다, 가자지구, 그린란드를 위협하는 트럼프의 미국에선 공연할 수 없다는 겁니다.
[크리스티안 테츨라프/바이올리니스트]
"(저의 공연 거부가) 트럼프의 이런 정책들에 맞서 싸우는, 선의의 미국 사람들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했을 거라 생각해요."
독재자들이 출현하고 정치의 극우화가 심화하는 2025년.
예술가들은 '바다의 물 한 방울’일 지라도 지금은 목소리를 내야 할 때라며 마음을, 목소리를 보태고 있습니다.
MBC뉴스 임소정입니다.
영상취재: 김희건, 강재훈 / 영상편집: 임혜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김희건, 강재훈 / 영상편집: 임혜민 임소정 기자(with@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최고 공직자가 헌법을 대놓고 무시하고, 민주주의를 파괴하는 한국의 우려스러운 상황.
그런데 이러한 걱정이 우리만의 일은 아닙니다.
한 대학이 매년 집계하는 민주주의 지수를 보면 권위주의 국가의 수가 179개 나라 중에서 91곳, 22년 만에 처음으로 민주 국가보다 많아졌는데요.
'독재'와 대척점에 섰던 예술가들은 이 상황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요?
임소정 기자입니다.
"내 부모의 세계는 죽었어. 네가 무서워해야 할 건 바로 그 세계라고."
파시즘의 그림자가 드리우기 시작한 이탈리아의 한 소도시.
왜소증이 있는 가난한 천재 석공과 책 한 권 마음대로 읽을 수 없는 귀족의 딸이 운명처럼 만납니다.
노벨, 부커와 함께 세계 3대 문학상으로 꼽히는 공쿠르상을 받았습니다.
[장 바티스트 앙드레아/작가]
"('그녀를 지키다'는) 독재에 맞선 투쟁의 이야기입니다. 주인공은 모든 사람과, 사회와, 자기 자신에 맞서 싸우죠."
독재자 무솔리니가 통치했던 시절로 시계를 돌린 이유를 묻자, 작가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유럽이 나치즘이란 독재에 지배당하던 시절로 소설의 배경을 설정한 건 자연스러운 일이었어요. 역사는 늘 은밀한 방식으로 반복되기 마련이거든요."
처음으로 방문한 한국에서 광장의 시민들을 봤다는 그는, 어둠의 지배를 막을 힘이 다름 아닌 '우리' 안에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장 바티스트 앙드레아/작가]
"독재는 피할 수 없는 게 아니에요. 계속 싸워나가는 게 중요합니다. 그 길만이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퇴행의 전조를 보이는 미국을 경고하며 음악가들은 공연 보이콧까지 선언했습니다.
5월에 방한하는 독일의 바이올리니스트 크리스티안 테츨라프 모두 미국 공연을 취소했습니다.
이민자 대량 추방을 요구하고 캐나다, 가자지구, 그린란드를 위협하는 트럼프의 미국에선 공연할 수 없다는 겁니다.
[크리스티안 테츨라프/바이올리니스트]
"(저의 공연 거부가) 트럼프의 이런 정책들에 맞서 싸우는, 선의의 미국 사람들에게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했을 거라 생각해요."
독재자들이 출현하고 정치의 극우화가 심화하는 2025년.
예술가들은 '바다의 물 한 방울’일 지라도 지금은 목소리를 내야 할 때라며 마음을, 목소리를 보태고 있습니다.
MBC뉴스 임소정입니다.
영상취재: 김희건, 강재훈 / 영상편집: 임혜민
MBC 뉴스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전화 02-784-4000
▷ 이메일 mbcjebo@mbc.co.kr
▷ 카카오톡 @mbc제보
영상취재: 김희건, 강재훈 / 영상편집: 임혜민 임소정 기자(with@mbc.co.kr)
ⓒ MBC&iMBC 무단 전재, 재배포 및 이용(AI학습 포함)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