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 1인2역
"광례→애순→금명→새봄 마음 이어졌다"
"폭싹 찍고 새 앨범에 그 노래 만들기도"
"대본 읽고 무슨 일 있어도 하겠다 결심"
"애순이 금명이 닮은 나…다 이해되더라"
"꿈 꺾인 애순의 삶? 애순은 성공한 삶"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서울=뉴시스] 손정빈 기자 = 배우이자 가수인 아이유(32·본명 이지은)가 지난해 2월 내놓은 앨범 '더 위닝'(The Winning)엔 'Shh'라는 노래가 있다. 경쾌하고 빠른 곡인데 가사는 의미심장하다. 특히 이 대목. "서로를 이어/How special we are/참 시시하게/혹은 비범하게/한 조각 씩 내어준/그 이름 Shh" 이 노랫말을 한참 음미하다가 넷플릭스 시리즈 '폭삭 속았수다'를 보면 아이유가 이런 노래를, 이런 가사를 왜 만들었는지 알 것만 같다. 광례가 애순에게, 애순이 금명에게, 금명이 새봄에게 줬던 그 사랑을 알 것만 같아서다. 게다가 해녀 이모들이, 춘옥이, 인옥이 이들에게 보내준 지지는 또 어떠한가. 말하자면 '폭싹 속았수다'는 시시해 보이지만 결코 평범하지 않은 그 마음을 한 조각 씩 내어줌으로써 연대해서 살아간 이들의 이야기다.
"아마 제가 '폭싹 속았수다'를 안 했다면 이 노래는 훨씬 늦게 나왔을 겁니다. 항상 머릿속에 가지고 있던 테마인데 구체화하지 못 했거든요. 그러다가 '폭싹 속았수다'를 찍은 뒤에 자연스럽게 이 노래가 나온 거예요. 앨범이 나왔을 땐 이 노래가 어떻게 만들어진 건지 다 말할 수 없었어요. 시리즈 내용에 대한 스포일러가 될 수도 있으니까요. 이제 앨범 나온지 1년이 지나서야 말할 수 있게 됐어요."
아직 2025년이 9개월이나 더 남아 있지만, 임상춘 작가와 김원석 PD가 합작한 '폭싹 속았수다'는 벌써 올해 가장 사랑 받은 시리즈가 될 것만 같다. 1960년대에서 시작해 현재에 이르기까지 세월을 아우르면서, 곡절 많은 한 가족의 삶을 5대에 걸쳐 담아내고, 그 수많은 시간과 관계 속에서 얽히고 설킨 감정을 꼼꼼히 들여다본 뒤 치밀하게 그려낸다. 이 정성 덕에 그저 꾸며진 한 가족의 개별적 이야기는 나의 이야기 혹은 우리의 이야기로 확장돼 보편화한다. 그래서 '폭싹 속았수다'를 본 사람들이 그렇게 울었는지도 모른다.
"작가님이 그 마음을 아끼고 아껴서 써주셨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 마음을 이어가기 위해서 광례와 애순과 금명이 어떻게 살았는지 알 수 있으니까요. 광례가 그렇게 물질을 해가며 애순을 지켰습니다. 애순은 밥상을 엎어서 금명을 지켜냈고요. 애순이 그렇게 지켜낸 금명이를 보면서 새봄이는 또 다른 세상을 만들어갈 수 있을 거예요. 이전 세대를 향한 존경, 지금 세대에 대한 지지, 다음 세대를 위한 응원이 이렇게 잘 담겨있을 수 있을까요."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아이유는 애순과 금명을 모두 연기했다. 애순의 청년 시절과 애순의 젊은 시절을 똑닮은 금명을 맡았다. 그는 애순의 10대부터 대략 30대까지를, 금명의 20대부터 50대까지를 살았다. 각기 다른 시대와 나이의 애순과 금명을 연기하는 게 이제 30대 초반인 아이유에게 부담스럽지 않았을까 싶었지만, 그는 그런 어려움이 크게 신경쓰이지 않았다고 했다. "당연히 어려울 거라고 생각했지만 하고 싶은 마음이 너무 컸습니다." 오히려 아이유는 자신이 애순과 금명을 모두 닮아 있어서 좋았다고 했다. "그들이 꼭 저 같더라고요."
"저도 애순·금명처럼 꿈도 많고 욕심도 많아요. 그들만큼 지기 싫어하고요. 물론 제가 그들처럼 매사 긍정적이고 그들만큼 사랑스럽지 않다는 건 알아요. 하지만 저 역시도 이들처럼 세상을 아름답게 바라보려고 하고 또 그렇게 볼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생각해요. 저 역시 제가 하고 싶은 것들, 제 꿈을 다 못 이룬다고 해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갈 수 있는 맷집이 있습니다. 그래서 전 애순과 금명이가 이해되지 않는 게 하나도 없었어요."
그렇게 눈물을 쏟으며 아이유는 어머니를 생각했다고 했다. 교대 근무를 해야 했던 엄마, 그래서 나를 잘 챙겨주지 못하는 것만 같은 엄마, 지금의 내 나이보다 어릴 때 나를 낳았던 엄마를 떠올렸다. "어릴 땐 마냥 엄마가 제게 잘해주지 못한다고 생각했었어요." 아이유 어머니는 아직도 일을 한다고 했다. "말하자면 엄마는 저희 집의 양스타죠. 저희 가족이 가장 사랑하는 사람, 저희 가족의 최애예요. 그렇게 저희 엄마가 저희를 건사하셨더라고요. 어릴 땐 잘 몰랐죠. 제 생일을 제대로 안 챙겨줬던 게 마냥 서운했을 때가 있었으니까요.(웃음) 제가 지금도 그 생각을 한다니까요. 그런데 엄마가 바로 금명이 같아요. 엄마가 금명이와 나이가 비슷하기도 하고, 게다가 저희 외가가 제주도예요."
극 중 애순은 말한다. "그 봄에 꿈이 꺾였다"고. 애순은 관식과 결혼해 금명을 낳으면서 부엌에 눌러 앉게 된다. 검정고시로 고등학교 졸업장을 따고 문학소녀의 꿈을 평생 잃지 않았지만, 그의 삶은 결국 그 한 두 평 부엌을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아이유는 "애순의 꿈은 결코 꺾이지 않았다"고 했다. "애순은 누구보다 성공했다"는 게 그의 해석이었다.
"글쎄요. 전 애순의 삶이 성공하지 못했다는 인상을 전혀 받지 못했어요. 오히려 이렇게 인생이 꽉 차 있을 수 있다는 게 놀라웠습니다. 애순은 다양한 사람들과 교류하며 수많은 감정을 느꼈어요. 그 사람들과 연대하고 사랑도 했죠. 인생 전체 관점에서 보면 이건 정말이지 성공한 삶이라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저도 인생을 다 살고 죽음을 앞둔 상태에서 삶을 되돌아볼 때 그런 감정의 충만함을 느껴보고 싶습니다. 전 애순이를 정말 사랑하고 아낍니다."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