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 남자는 왜 스스로 목숨을 끊었을까.
5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는 최근 사망 소식이 전해진 인플루언서 故 김웅서 사망 미스터리에 대해 집중 조명됐다.
지난 2월 3일 헬스 유튜버 김웅서 씨가 사망했다. 당시 김 씨의 사망을 두고 그를 최초 발견 전 동거녀 홍주영(가명) 씨는 고인이 ‘사고사’를 당했다고 부고를 알렸다. 하지만 김 씨의 회사에서는 고인이 ‘심장마비’로 사망했다고 알리면서 논란이 시작됐다.
유튜버들을 비롯해 많은 이들이 김씨의 사망에 의혹을 늘어놓는 사이, 장례식이 진행되던 밤 12시 고인이 운영하던 유튜브 채널이 유서가 게재됐다. 예약 업로드된 것으로 보이는 유서에는 자신의 동업자 김학수씨를 맹비난하는 내용이 담겨 충격을 안겼다. 하지만 유서는 단 4분 만에 삭제되면서 더욱 의문을 안겼다.
홍씨는 2021년 유부남이던 고인과 외도로 사실혼 관계를 시작했고 이듬해 아들을 낳았다. 장례 당시 고인의 핸드폰을 가지고 있었던 고인은 유튜브에 올라온 유서를 삭제했고, 장례식장을 벗어난 뒤에는 김학수씨에게 고인의 집에 들러 시계를 챙기자는 말도 했다.
이에 대해 김학수씨는 “저한테 희대의 사기꾼, 성범죄자라고 썼다. 왜 그렇게 썼는지 이해가 안 된다”라고 털어놨다. 김학수씨는 고인과 동업자로, 뷰티 관련 매장을 운영하고 있는 고인에게 2021년 프랜차이즈 사업을 제안하면서 인연이 시작됐다.
그러나 김학수씨는 고인의 불륜에서 비롯한 오너리스크를 언급했다. 홍씨와의 불륜으로 22년 7월부터 매출이 떨어졌으며 전 아내와의 이혼 위자료와 이유 모를 출금이 이어졌다. 결국 김학수씨는 고인을 횡령·배임으로 고소했다.
가압류가지 청구하자 생활이 어려워졌던 고인은 12월, 김학수씨에게 가압류라도 풀어달라며 잘 지내보자고 연락을 해왔다. 하지만 그다음 날 바로 고소가 들어왔고 사이는 회복될 수 없었다.
홍주연 역시 억울하다는 입장이었다. 그러면서 고인이 죽음을 택한 이유에 대해 “명예, 돈에 대한 압박감”이라며 “이혼 소송으로 재산 분할이 8억이 나왔다. 또 김학수가 가압류를 걸었다고 하더라. 그걸 풀려면 공탁금 1억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그것 때문에 힘들어했다. 그 이후로 죽고 싶다고 했다”라고 전했다.
또한 “김웅서가 가족을 정말 싫어했다. 자기 죽으면 장례식에서 내쫓으라고 할 만큼 싫어했다. 그래서 핸드폰을 주지 않았다”라며 “유서를 삭제한 것도 너무 감정적이었다. 더 불미스러운 소문이 날까 봐 그랬다”라고 설명했다.
그녀는 고인이 죽음을 이야기할 때마다 아들을 생각하라며 말려왔다고 밝혔다. 또한 사망 전날 함께 밥을 먹고도 걱정이 되어 아이를 재운 뒤 다시 고인을 찾아 죽지 않겠다는 약속을 받고 돌아왔다고도 말했다. 하지만 고인은 다음날 새벽 주차장에 세워진 자신의 차에서 주검으로 발견됐다.
고인은 1월 한 달 동안 홍씨와 전화통화를 하며 유언공정증서를 통해 모든 재산을 둘째 아들에게 넘기고 유언집행자를 홍씨로 남겼다. 자신이 죽으면 전 아내에게 재산분할이 전혀 되지 않을 테니 첫째 아들을 잘 챙겨달라는 부탁도 했다.
그리고 고인이 사망하기 15시간 전인 2월 2일 오후 1시 19분, 자신에게 썼다가 지운 메시지에는 ‘홍씨를 만나 인생이 꼬였고 그녀를 원망한다’라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아버지는 해당 내용이 4분 만에 삭제된 유서에 들어갈 내용이라고 봤다.
다시 만난 홍씨는 “계속 말렸다. 살아보자고 했다. 하는 말들이 모두 사망계획이라고 생각하진 않았다. 반응해주면 급발진하고 더 충동적인 행동을 보일까 봐 그랬던 것”이라며 녹취에 대해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김웅서씨가 이렇게 해야지만 본인걸 지킬 수 있다고 해서 도와달라고 했다. 그래서 따른 거다. 따르면서도 말리고 따르면서도 말리고. 왔다 갔다 했다”라고 일정 부분 인정하면서도 “죽음을 바란 적은 없다”라고 밝혔다.
[이투데이/한은수 (online@etoday.co.kr)]
▶프리미엄 경제신문 이투데이 ▶비즈엔터
이투데이(www.etoday.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