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화연. 사진 | BH엔터테인먼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이승록 기자] “그 시 아세요? ‘나는 이제 너 없이도 너를 좋아할 수 있다.’”
나태주 시인의 ‘내가 너를’이다. 홍화연의 눈가에 깃든 눈물이 마치 시의 한 구절 같았다. SBS 드라마 ‘보물섬’에서 서동주(박형식)를 떠나보낸 여은남의 엔딩을 두고 홍화연은 “진정한 사랑이라면, 그 자리에서 그 사람을 기다리는 것도 사랑의 한 형태”라고 했다. 그렇게 말하며 짓는 미소는 여운이 짙었다.
홍화연. 사진 | BH엔터테인먼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홍화연은 은남을 기술적으로 연기하지 않았다. 감정적으로 이입했고, 은남과 동화됐다. “대본에는 없는 은남의 과거를 마치 진짜 꿈을 기억하듯 떠올리며 연기했다”는 말처럼, 홍화연은 은남의 심리를 내면에서 접근해 재구성했다. ‘연기 연습’이라는 말보다는 ‘감정의 공유’에 가까웠다. “대본을 반복해서 읽으면서 은남이 왜 이 말을 하는지, 어떤 감정으로 무엇을 얻고자 하는지 계속 고민했다”는 말은 그가 연기 비전공자라는 사실을 무색하게 만들었다.
홍화연. 사진 | SBS 방송화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거 알아요, 엄마? 서동주, 미련 없이 잊을 줄 알았어요. 그런데, 이 모양 이 꼴이에요. 어쩌면 좋죠?”
홍화연은 감정을 과잉하지 않았다. 절제된 표정과 낮은 톤, 찰나의 호흡까지. 그러나 정확하게 조율된 감정의 세기가 울림을 만들어냈다. 학습 받은 연기로는 빚을 수 없는 파동이었다. 끊임없이 인물의 내면을 정리하고, 감정의 정당성을 확보하려 노력했던 홍화연의 열의가 이끈 장면이었다.
홍화연. 사진 | BH엔터테인먼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원래의 꿈은 교육자였다. 건국대학교 교육공학과 출신인 홍화연은 “교육은 따뜻한 학문이다”라는 교수의 말을 듣고 인생의 가치관을 재정립했다. 사람은 가르치면 나아질 수 있다는 믿음이 그에게 확신처럼 자리잡았다. 지금은 배우의 길에 들어섰으나, 배우가 된 현재의 삶에도, 그의 연기에도 여전히 같은 철학이 녹아있다.
‘지금 마음가짐을 앞으로도 잃지 않겠다’는 다짐. 홍화연을 신인 연기자로 발탁한 BH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우리가 뒤에 있을게. 넌 걸어만 가”라고 격려했다. 홍화연이 낯선 길을 나아갈 수 있는 원동력이다. “저를 믿고 뽑아주신 분들께 꼭 보답하고 싶었어요. 잘하고 싶었어요.”
홍화연. 사진 | BH엔터테인먼트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눈물을 뒤로 하고 소중한 ‘보물섬’이 저 멀리 사라졌다. 다만, 그 섬에서 발견된 신예 홍화연만큼은 우리도 쉽게 잊을 수 없을 것이다. 우린 이제 여은남 없이도, 홍화연을 좋아할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이다. roku@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