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그우먼 김영희가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를 활용해 가족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꿨다가 실망했다. /사진=김영희 인스타그램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코미디언 김영희가 지브리 화풍 챗GPT 이미지 변환 기능에 실망감을 드러냈다.
김영희는 지난 3일 SNS(소셜미디어)에 "챗GPT 피해자. 지브리 다 예쁘고 멋지게 나오던데 나만 '폭싹 삭았수다'네"라며 사진을 여러 장 올렸다.
공개된 사진은 김영희가 남편, 딸과 함께 찍은 사진을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를 활용해 지브리 스타일로 바꾼 이미지들이다.
10살 연하 야구선수 출신 윤승열과 결혼해 슬하에 딸을 둔 김영희는 자기만 나이 들어 보이게 만든 이미지에 불만을 쏟아냈다.
그는 "내가 10살 연상인 거 어찌 아냐고. 그 이상의 연상으로 만들어 버리느냐"며 "혈관 나이가 보이는 건가"라고 의문을 표했다. 그러면서 "오늘 챗GPT를 내 휴대전화에서 지웠다"고 덧붙여 웃음을 자아냈다.
개그우먼 김영희가 인공지능(AI) 서비스 챗GPT를 활용해 가족 사진을 지브리 스타일로 바꿨다가 실망했다. /사진=김영희 인스타그램 갈무리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연예인과 일반인 너 나 할 것 없이 지브리풍 사진 변환이 유행처럼 번진 가운데 저작권 침해 문제가 화두로 떠오르며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다.
애니메이션 '포켓몬스터' '나루토' 등을 작업한 감독 헨리 서로우도 "AI로 지브리 이미지를 만드는 사람들이 뭘 얻는가"라며 "원작 아티스트를 불쾌하고 화나게 하는 것 외엔 아무것도 얻지 못할 것"이라고 불편함을 내비쳤다.
김덕진 IT커뮤니케이션연구소 소장은 "지브리 '스타일'이라고 하는 건 저작권을 주장하기 애매한 부분이 있어 지금은 줄타기하는 상황"이라며 "소송이나 여러 논란이 계속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김소영 기자 ksy@mt.co.kr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