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6 (토)

이슈 스포츠계 샛별·유망주 소식

SSG 유망주들이 착각하면 안 되는 것, 기회는 생각보다 빨리 사라진다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티비뉴스=인천, 김태우 기자] 이숭용 SSG 감독은 올 시즌 야수진에 세 명의 선수에게 큰 기대를 걸었다. 주전 1루수로 낙점했던 우타 거포 유망주 고명준(23), 주전 2루수로 낙점한 정준재(22), 그리고 내·외야 다양한 방면에서 활용하고자 했던 팀 내 야수 최고 유망주 박지환(20)이 그 주인공이었다.

고명준은 지난해 부침은 있었지만 그래도 106경기에서 두 자릿수 홈런(11개)을 치면서 가능성을 내비쳤다. 앞으로 팀의 미래를 책임질 주전 거포 1루수 감을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SSG가 기대를 걸 만한 재목이었다. 지난해 신인으로 나란히 1군에서 인상적인 활약을 했던 박지환과 정준재는 지난해 경험을 바탕으로 한층 더 성장한 모습을 기대했다. 콘택트와 끈질김, 그리고 빠른 발을 갖춘 정준재를 2루수로 쓰고, 대형 야수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은 박지환은 다양한 포지션에서 활용하며 최대한 많은 출전 시간을 준다는 계획이었다.

지난해 활약이 그대로 이어질 것이라 낙관한 것은 아니었다. 당연히 부침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올해 세 선수는 꾸준하게 경기에 나서며 벤치의 믿음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올해 활약상은 오히려 지난해보다 더 떨어진다. 이숭용 SSG 감독은 “경기장에서 뛰어 노는 것이 중요하다”며 어린 선수들을 격려하고 있지만, 선수들의 플레이에서 활기가 사라진 지 좀 됐다. 단순한 성적 저하보다 더 뼈아픈 대목이다.

고명준은 14일까지 15경기에서 타율 0.229, 1홈런, 5타점, OPS(출루율+장타율) 0.609에 그쳤다. 거포로 성장해야 할 선수가 타석에서 너무 머뭇거린다는 아쉬움이 있었다. 타석에서 생각이 많다 보니 타이밍이 좀처럼 앞으로 나오지 않는다는 평가였다. 지난해 88경기에서 타율 0.307, 출루율 0.371을 기록했던 정준재는 첫 14경기에서 타율 0.170, 출루율 .291에 머물렀다. 최정의 햄스트링 부상으로 주전 3루수 자리를 꿰찬 박지환도 13경기에서 타율 0.205, OPS 0.461에 그쳤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직 시즌 초반이기는 하지만 주전으로 나설 만한 성적이 아닐 수도 있었다. 그러나 팀 사정도 있고, 무엇보다 이들이 팀의 미래를 이끌 주축이라는 점에서 벤치는 비교적 인내심을 가지고 이들을 지켜보고 있다. 아직 어린 선수들이기에 타격 성적의 부진은 어느 정도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다. 그러나 공·수 모두에서 당황하는 기색이 역력하면 곤란하다. 패기를 기대하는데, 그런 기색이 완전히 사라졌다. 지금은 뭔가 짓눌려 있는 양상이다.

15일 인천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한화와 경기에서도 그런 모습이 보였다. 이날 세 선수 모두 선발로 출전했지만 수비에서 모두 아쉬운 모습을 보이면서 팀의 패배 원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공격은 어차피 상대 선발 코디 폰세에 눌려 다 같이 못 쳤지만, 세밀한 플레이에서의 미스가 아쉬웠다.

정준재는 올 시즌 송구 쪽에서 보이지 않는 실책이 많다. 가진 능력을 생각하면 심리적인 문제라고 봐야 한다. 기록된 실책은 2개지만, 그 이상으로 미스 플레이들이 나오고 있다. 이날도 1회 그랬다. SSG는 1회 무사 1,3루에서 앤더슨이 문현빈을 유격수 땅볼로 유도했다. 3루 주자가 들어오는 것은 어쩔 수 없었다. 하지만 병살로 이어 가야 할 상황이었다. 그러나 정준재의 송구가 위로 떴다. 1루수 고명준이 잡아내기는 했지만 마지막 순간 포구를 하려다 발이 떨어지며 병살이 되지 않고 아웃카운트 하나만 올라갔다. 추가 실점은 없었지만 앤더슨은 이를 만회하기 위해 한 타자를 더 상대해야 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고명준은 2회 1사 주자 없는 상황에서 최재훈의 1루 땅볼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역시 실책을 범했다. 몸으로 막는 등 조금 더 안전하게 플레이를 할 수 있는 상황에서 판단을 잘못했고, 결국 공이 튀면서 출루를 허용했다. 역시 실점으로 이어지지는 않았으나 초반 이 두 개의 실책 및 보이지 않는 실책은 앤더슨의 투구 이닝을 5이닝으로 묶는 원인 중 하나가 됐다.

박지환은 7회 실책을 저지르며 귀중한 점수를 내줬다. 역시 실책으로 만들어진 위기였다. 0-1로 뒤진 7회 무사 1루에서 최재훈의 희생번트 때 투수 김건우가 2루 송구 실책으로 무사 1,3루를 만들어줬다. 다만 이로운이 심우준을 삼진으로 잡았고, 이원석을 3루 땅볼로 유도하며 실점을 막는 듯했다. 하지만 3루수 박지환이 이 공을 잡지 못한 탓에 3루 주자가 홈으로 들어왔다. 너무 급했다. 정상적으로 포구해 정상적으로 공을 던졌다면 아웃이었다. 공보다 주자가 빠를 수는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여기서 1점을 더 내준 SSG는 사실상 패배를 직감해야 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비록 성적이 저조하더라도 벤치와 팬들이 납득할 수 있는 성장 가능성을 기대하는 것이지, 성적도 떨어지고 그런 패기도 보여주지 못한다면 굳이 주전으로 매일 투입할 이유가 없다. 퓨처스리그(2군)에서 좋은 활약을 하고 있는 선수들을 돌아가며 쓴다면 설사 성적이 같더라도 2군의 동기부여와 경쟁 구도라도 만들 수 있다. 혹은 그냥 어느 정도 성적이 보장된 베테랑 선수들을 쓰면 된다. 김성현 오태곤은 훨씬 더 안정적인 수비를 보여주는 선수들이다.

기회가 영원하지 않다는 것을 되새기고, 팀과 팬들이 자신들에게 어떤 플레이를 바라는지 곰곰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 한 번 기회를 놓치면 다시 잡는 데까지 시간이 꽤 걸리고, 어쩌면 다시는 찾아오지 않을 수도 있다. 세금은 피할 수 없지만, 낭비가 되어서는 안 된다. 구단도 '미리 보는 최정 이후의 시대'에 대한 경각심을 가지고 더 체계적인 육성 방안을 세워야 한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