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텍사스' 추신수 MLB 활약상

류현진·강정호 ‘맑음’…추신수·오승환 ‘흐림’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시즌 앞둔 코리안 빅리거 기상도

개막전은 20~21일 도쿄 2연전

한국인 선수들 29일부터 출전

2019 메이저리그가 20일 일본 도쿄돔에서 열리는 오클랜드 어슬레틱스와 시애틀 매리너스의 2연전을 시작으로 대장정에 들어간다. 올해는 5명의 한국인 선수가 개막 엔트리에 뽑혀 새 시즌을 맞이한다. 올 시즌에도 ‘코리안 메이저리거’들은 큰 활약을 예고하고 있다.

중앙일보

코리안 빅리거 기상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메이저리그 7년 차가 된 류현진(31· LA 다저스)은 그중에서도 가장 큰 활약이 기대된다. 시범경기에서 10이닝을 던지면서 단 2점만 내줬다. 삼진 9개를 잡는 동안 볼넷은 없었다. 직구, 컷패트스볼, 체인지업, 슬라이더, 커브 등 모든 구종을 실험하면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시즌 개막 전인데도 직구 최고 구속을 92마일(약 148㎞)까지 끌어올렸다.

코칭스태프의 신임도 두텁다. 류현진은 지난 15일 신시내티 레즈전에서 4이닝 2실점 했다. 하지만 데이브 로버츠 감독은 “똑같은 리듬으로 투구했고, 제구력도 좋았다”며 만족을 표시했다.

야구 전문 매체 베이스볼 프로스펙터스 예측시스템 PECOTA는 류현진의 올 시즌 예상 성적을 10승 6패, 평균자책점 3.77로 내다봤다.

류현진은 29일부터 4월 1일까지 안방 다저스타디움에서 열리는 개막 4연전에 나선다. 깜짝 개막전 등판 가능성도 있다. 로버츠 감독은 19일 “클레이턴 커쇼가 개막전에 나설 수 없게 됐다”고 말했다. 현지 매체들은 워커 뷸러가 유력하다고 점치고 있지만, 시범경기 성적이 좋은 류현진과 훌리오 유리아스 중 한 명이 나설 가능성도 있다.

류현진과 절친한 강정호(31·피츠버그 파이리츠)도 3년 만의 부활을 노리고 있다. 강정호는 시범경기에서 활약을 펼치며 지난해 주전 3루수 콜린 모란를 밀어내고 주전 자리를 꿰찼다. 타율은 0.179(28타수 5안타)에 그쳤지만, 안타 5개가 모두 홈런이었다. 모란은 타율(0.219)에선 강정호를 앞섰지만, 홈런 1개에 그쳤다. 강정호는 수비에서도 우위를 보였다. 모란은 실책 4개를 저지른 반면 강정호는 2년의 공백이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견고한 수비(실책 1개)를 펼쳤다. MLB.com은 닐 헌팅턴 피츠버그 단장의 말을 통해 ‘강정호가 피츠버그의 개막전 3루수로 나선다’고 보도했다.

해마다 힘겨운 주전 경쟁을 펼쳤던 최지만(28·탬파베이 레이스)은 모처럼 맑은 봄을 맞이하게 됐다. 시범경기에서 타율 0.379(29타수 11안타), 1홈런·5타점의 맹타를 휘둘러 1루수·지명타자 자리를 예약했다. 약점으로 꼽히던 수비력도 향상됐다는 평가다. 탬파베이 타임스는 ‘최지만의 훌륭한 수비는 이번 캠프에서 주목해야 할 장면 중 하나’라고 전했다. 타순 역시 중심타선인 3번이 유력하다.

그러나 한국인 빅리거 중 맏형인 추신수(37·텍사스 레인저스)는 불안한 상황이다. 추신수는 지난해 전반기 타율 0.293, 18홈런으로 활약했지만, 후반기엔 타율 0.217, 3홈런으로 주춤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시범경기에선 왼 어깨 통증으로 예정된 경기를 모두 소화하지 못했다. 시범경기 타율은 0.222(27타수 6안타). 볼넷(5개)보다 삼진(7개)이 더 많았다. 텍사스는 추신수를 1번 또는 3번으로 기용할 전망이다.

추신수의 동갑내기 친구 오승환(37·콜로라도 로키스)은 시범경기에서 들쭉날쭉한 피칭으로 믿음을 주지 못했다. 시범경기 초반엔 3경기 연속 실점하며 흔들렸다. 그러나 최근 3경기에선 무실점으로 막았다. PECOTA는 오승환이 지난해(6승3패, 평균자책점 2.63) 성적에 못 미치는 평균자책점 4.50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오승환의 보직은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7,8회 등판하는 셋업맨이다. 그는 올 시즌 세이브 1개만 추가하면 한·미·일 통산 400세이브를 달성한다.

김효경 기자 kaypubb@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