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6 (목)

이슈 류현진 MLB 활약상

류현진 1이닝 무실점 뒤이은 커쇼는 1실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MLB 올스타전 역사적 선발등판

류, 타자 4명 1안타·땅볼로 막아내

환하게 웃으며 “기분 좋게 던졌다”

가족들과 함께 레드카펫에 올라

아메리칸리그 4-3승, MVP 비버

중앙일보

메이저리그 LA 다저스의 류현진이 올스타전에서도 호투했다. 내셔널리그 선발 투수로 등판한 그는 컷패스트볼, 체인지업, 커브 등을 구사하면서 에이스의 위용을 뽐냈다. [AF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코리안 몬스터’가 한국 야구 역사를 새로 썼다. 류현진(32·LA 다저스)이 메이저리그(MLB) 올스타전 선발투수로 등판해 호투했다.

류현진은 10일(한국시각) 미국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 프로그레시브 필드에서 열린 2019 MLB 올스타전에서 내셔널리그 선발투수로 등판해 1이닝을 1피안타·무실점으로 막았다. 한국 선수로는 올스타전 출전이 박찬호(2001년), 김병현(2002년), 추신수(2018년)에 이어 네 번째. 선발 투수로는 류현진이 처음이다. 아시아 선수 중에선 1995년 노모 히데오(당시 다저스) 이후 두 번째 선발 등판이다.

류현진은 1회 말 선두타자 조지 스프링어(휴스턴 애스트로스)를 맞아 초구로 시속 90마일(약 145㎞)짜리 직구를 던졌다. 스트라이크. 2구는 더 빠른 91마일짜리 포심패스트볼. 스프링어는 그대로 받아쳐 2루수와 유격수 사이로 가는 땅볼 타구를 만들었다. 정확하게 맞지 않았지만, 2루수 케텔 마르테(애리조나 다이아몬드백스)가 잡기는 힘들었다. 내야안타.

2번 타자는 아메리칸리그 타율 1위(0.336) DJ 르메이휴(뉴욕 양키스). 류현진은 긴장한 듯 제구가 흔들리며 연거푸 볼을 던졌다. 3구는 파울. 유인구로 던진 4구 체인지업이 완벽하게 바깥쪽 코스로 들어갔다. 르메이휴가 건드렸지만, 공은 힘없이 류현진 앞으로 굴렀다. 류현진은 침착하게 잡아 1루로 던져 첫 아웃 카운트를 만들었다. 1사 2루.

다음 타자는 MLB 최고 타자 마이크 트라우트(LA 에인절스). 트라우트를 상대로 10타수 무안타로 강했던 류현진은 초구 직구에 이어 2구로 컷패스트볼을 던졌다. 트라우트가 받아쳤지만, 공은 수비 시프트를 펼치던 마르테 앞으로 굴렀다.

2사 3루. 류현진은 홈팬들의 뜨거운 응원을 받은 4번 타자 카를로스 산타나(클리블랜드 인디언스)를 유격수 땅볼로 처리하고 이닝을 끝냈다.

류현진은 마운드를 내려오며 씩 웃었다. 좀처럼 표정을 드러내지 않던 그답지 않았다. 류현진은 “1이닝을 깔끔하게 끝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류현진은 경기 시작 1시간 전부터 몸을 푸는 등 마치 정규시즌 경기처럼 승리욕을 내보였다. 그는 “세 타자로 끝내고 싶었지만, (스프링어에게) 빗맞은 것이 안타가 됐다. 그래도 기분 좋게 내려왔다. 재밌게 잘 던졌다”고 소감을 전했다.

아메리칸리그 선발 투수는 저스틴 벌랜더(36·휴스턴)였다. 우완 정통파인 벌랜더는 최고 시속 97.3마일(157㎞)의 강속구로 삼진 2개를 잡았다. 반면 류현진은 다양한 구속과 구종으로 땅볼 아웃 3개를 끌어냈다. 류현진은 “나도 당연히 강한 공을 던지면 좋겠지만, (벌랜더와는) 반대의 투수이기 때문에 구속에는 신경 쓰지 않았다”고 말했다. 또 “예상과 달리 선수들이 진지했다. 앞으로도 (올스타전을) 자주 해봤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중앙일보

레드카펫 행사에 참석한 류현진의 가족. 왼쪽부터 형 류현수, 류현진, 어머니 박승순, 아내 배지현, 아버지 류재천씨. [사진 류현진 SNS]


류현진은 경기 전 가족과 함께 레드카펫 행사에 참여했다. 부인 배지현 전 아나운서는 하얀색 미니 드레스 차림으로 레드카펫에 올라 미소 지었다. 아버지 류재천씨, 어머니 박승순씨, 형 류현수 에이스펙 코퍼레이션 대표는 올스타 내셔널리그 셔츠를 입었다. 배씨는 소셜미디어에 “정말 자랑스럽다”고 소감을 남겼다.

경기에선 아메리칸리그가 내셔널리그를 4-3으로 제압했다. 7년 연속 승리한 아메리칸리그는 통산 전적에서도 45승 43패 2무로 우위를 지켰다.

아메리칸리그는 류현진에 이어 2회 등판한 클레이턴 커쇼(다저스)에게 선취점을 뽑아냈다. 5회엔 호르헤 폴랑코(미네소타 트윈스)가 워커 뷸러(다저스)를 상대로 적시타를 쳐 2-0을 만들었다. 내셔널리그는 6회 초 찰리 블랙몬(콜로라도 로키스)의 솔로홈런으로 추격했다. 하지만 아메리칸리그가 7회 조이 갈로(텍사스 레인저스)의 솔로홈런 등으로 두 점을 더 달아났다. 내셔널리그는 8회 피트 알론소(뉴욕 메츠)의 2타점 적시타로 한 점 차까지 따라붙었으나 역전에 실패했다.

최우수선수(MVP)는 아메리칸리그 오른손 투수 셰인 비버(클리블랜드)가 차지했다. 5회 등판한 비버는 윌슨 콘트레라스(시카고 컵스), 마르테, 로날드 아쿠냐 주니어(애틀랜타 브레이브스)를 삼진으로 삼자범퇴시켰다. 비버는 당초 올스타 명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마이크 마이너(텍사스)의 대체선수로 출전했다가 MVP를 차지했다. 내년 올스타전은 다저스 홈구장인 다저스타디움에서 열린다.

김효경 기자 kaypubb@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