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김경수의 버디&보기] 일신우일신하는 임성재, 미국PGA투어 첫 우승도 멀지 않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핌] 김경수 골프 전문기자 =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하는 임성재, 첫 승도 멀지 않았다’

임성재가 22일(현지시간) 미국 미시시피주 잭슨의 잭슨CC(파72)에서 끝난 미국PGA투어 샌더슨 팜스 챔피언십(총상금 660만달러)에서 4라운드합계 18언더파 270타(68·69·67·66)를 기록한 후 세바스티안 무뇨스(26·콜롬비아)와 연장전끝에 2위를 차지했다.

1타차 선두로 경기를 마치고, 나머지 선수들의 경기 종료를 기다린 끝에 맞이한 연장전에서 패한 터라 아쉬움이 남는다. 연장전이 벌어진 18번홀(길이 486야드) 러프에서 친 두 번째 샷이 두고두고 뇌리에 남을 법하다.

그 러프는 한국선수들에게 생소한 버뮤다 잔디였고, 그의 볼은 질긴 풀에 묻히듯 둘러싸여 있었다. 그 바람에 그의 어프로치샷은 플라이어(flyer·클럽페이스와 볼 사이에 풀이 끼여 톱스핀을 야기하는 현상)가 되면서 그린을 훌쩍 오버했고, 결국 보기로 이어졌다.

뉴스핌

미국PGA투어 2019-2020시즌 두 번째 대회에서 아쉽게 우승을 놓친 임성재. 기복없는 기량으로 볼 때 그의 투어 첫 승은 가시권에 들어선 것으로 보인다. [사진= 로이터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실망할 것없다. 아직 갈 길이 멀고, 2위라는 성적은 아무나 낼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도 경기 후 “아쉽지만 만족한다”고 했다.

세계 골프계가 기억하는 임성재는 ‘기록의 사나이’라고 할 만하다. 2018년 미국PGA 웹닷컴(2부)투어에 데뷔한 그는 시즌 시작부부터 끝까지 줄곧 상금랭킹 1위를 지키며 신인상과 올해의 선수상을 휩쓸었다.

미국PGA투어에 입성한 2019년은 그의 이니셜인 ‘임’(Im)을 세계 무대에 본격 알린 해였다. 특히 3월 아놀드 파머 인비테이셔널에서 공동 3위를 하며 강렬한 인상을 남겼다. 그는 지난 시즌에 투어 35개 대회에 출전해 ‘톱10’에 일곱 차례 들었고, 신인으로는 유일하게 톱랭커 30명만 출전하는 시즌 최종전 투어챔피언십에 나갔다. 그리고 이어서 동료선수들의 투표로 ‘올해의 신인’에 올랐다.

투어챔피언십 출전에 힘입어 그는 내년 첫 메이저대회이자 모든 선수들의 ‘꿈의 무대’인 마스터스 골프 토너먼트에 처음 나간다. 오는 12월 호주에서 열리는 프레지던츠컵(미국-인터내셔널 남자프로골프대항전)에도 단장 추천 케이스로 나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 우승컵만 받지 못했지, 신인으로서 최고의 성취를 이뤘다.

그는 지난 12일 시작된 2019-2020시즌 들어서도 데뷔연도의 상승세를 멈추지 않고 있다. 첫 대회인 그린브라이어에서 공동 19위를 한 데 이어 두 번째인 이번 대회에서 2위를 함으로써 그가 결코 과대평가되지 않았다는 것을 입증했다. 이번 대회에서 나흘 내내 60타대 스코어를 낸 선수는 그 뿐이다. ‘큰 기복없이 꾸준히 잘 친다’는 평가는 그를 두고 하는 말인 듯하다.

데뷔연도인 지난시즌 최고성적 공동 3위에 이어 이번 시즌 들어서는 벌써 2위를 했다. 시즌 초반이지만, 그의 현재 페덱스컵 랭킹은 3위(343점), 투어 상금랭킹은 4위(81만1575달러)다. 세계랭킹도 지난주 54위에서 이번주엔 생애 처음으로 50위권에 들어설 것으로 보인다. 세계적 선수 대열에 들어섰다는 것을 뜻한다.

1998년3월생인 임성재는 만 22세가 채 안됐다. 연부역강한 파워를 무기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출전할 수 있는 대회에는 모두 나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오는 26일 저스틴 토머스, 필 미켈슨 등 톱랭커들이 나서는 세이프웨이오픈 출전자 명단에도 그의 이름이 들어있다.

그의 다음 타깃은 투어 첫 우승이다. 그의 투어 동료들은 오래전에 “임이 우승하는 것은 시간문제다”고 진단했다. 지금 기세라면 임성재의 첫 우승도 멀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ksmk7543@newspim.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