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일문일답] 벤투 "경기력 좋지 않았다…여전히 1위지만 개선해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파울루 벤투 대한민국 축구대표팀 감독이 14일(현지시간) 오후 레바논 베이루트 카밀 샤문 스포츠시티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2년 카타르 월드컵 2차 예선 4차전 레바논과의 경기를 지켜보고 있다. 이날 경기는 레바논축구협회가 반정부 시위 악화 등 안전상의 이유로 아시아축구협회에 무관중 경기를 제안해 치러졌다.2019.11.14/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이루트(레바논)=뉴스1) 임성일 기자 = 카타르 월드컵으로 향하는 첫 관문인 아시아지역 2차 예선 중 가장 까다로운 일정이 될 것이라 예상됐던 레바논과의 원정경기가 아쉬운 경기력 끝에 득점 없이 무승부로 끝났다.

지난달 15일 평양에서 펼쳐진 북한과의 3차전에 이어 2연속 '무관중 경기'를 펼쳤던 대표팀은 2경기 연속 0-0이라는 만족스럽지 않은 결과물을 받게 됐다.

파울루 벤투 감독이 이끄는 축구대표팀이 14일 오후 10시(한국시간) 베이루트에 위치한 스포츠시티 스타디움에서 펼쳐진 레바논과의 2022 FIFA 카타르 월드컵 2차예선 H조 4차전에서 0-0으로 비겼다. 2승2무 승점 8점이 된 한국은 H조 선두를 유지했고 레바논는 2승1무1패로 승점 7점이 됐다.

경기장 상태가 좋지 않았다고는 하지만 기대에 미치지 못한 졸전이었다. 특히 후반전은 우리가 더 위험한 장면이 많았다. 벤투 감독도 "우리가 원하는 플레이를 펼치지 못했다. 후반전은 특히 경기력이 좋지 못했다"고 인정할 정도.

선두를 유지하기는 했으나 뒤를 잇는 레바논, 북한(이상 승점 7)과의 격차는 1점에 불과하다. 벤투 감독은 "아직 1위를 달리고 있으나 팬들이 실망스러워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개선할 것을 찾아야한다"고 답했다.

다음은 벤투 감독과의 일문일답

-현지훈련이 없던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하는가
▶베이루트에서는 공식 훈련을 하지 않았는데, 오늘 여기와 잔디 상태를 보니 훈련을 하지 않은 게 더 잘했다는 생각이 든다. 현지에서 훈련을 하지 않아서 결과가 좋지 않게 나왔다는 것은 구차한 변명이다. 오늘 경기력이 좋지 못했던 것은 사실이다. 특히 후반전은 생각보다도 더 못했고 원했던 결과도 얻지 못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조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내년에 4경기가 더 남았다. 2020년에 홈에서 3경기, 원정에서 1경기를 한다. 유리한 일정이다. 하지만 그래도 개선점을 찾아야한다.

-오늘 전체 경기력을 평가한다면
▶전반전이 후반전보다는 나았다. 전반에는 측면에서 공간을 만든 뒤 상대 풀백과 2대1 상황을 만들어 풀어나가려 했다. 근데 후반전에는 밸런스가 무너지면서 어려움을 겪었다. 이후로는 포메이션 전환으로 변화를 꾀했다. 크로스를 시도한 뒤 문전에서 헤딩 떨구기에 이은 세컨볼 공략을 노렸는데 실패했다. 오늘 주로 중앙 돌파를 통해 상대를 흔들려고 했는데 잘 안됐어. 개선해야한다.

-2차 예선 반환점 돌았는데 격차가 거의 없다. 팬들의 우려가 들린다
▶팬들이 최근 결과에 만족할 수 없다는 것을 이해한다. 계속 열심히 훈련해서 우리 원래의 모습 되찾는 게 일단 중요하다. 우리의 좋았던 경기력, 좋았던 결과물을 계속 보여줘야 한다. 축구를 보면서 얻는 즐거움도 선사해야한다. 하지만 아직은 조 1위다. 2경기 연속 득점을 하지 못했으나 계속 실점 없는 경기가 나오고 있다. 특히 오늘처럼 경기가 잘 풀리지 않았을 때도 상대에게 끝까지 실점하지 않은 것은 긍정적이라고 생각한다.

-2경기 연속 무승부가 나왔다. 감독으로서 부담되지 않는가
▶개인적으로 그리스(올림피아코스)에 있을 때 팀을 리그 1위로 이끌다가도 경질을 당한 적이 있다. 감독은 어떤 일이 벌어질지 모르니 모든 것을 대비하기는 해야 한다. 만약 내가 한국에서 경질 당하면 연락드리겠다. 다음에 북한이나 레바논과 대결하는 것에 대한 걱정은 없다. 그 경기들은 내년 6월이고, 그에 앞서 3월에 스리랑카 그리고 투르크메니스탄과 먼저 붙어야한다. 그 경기들이 먼저다.
lastuncle@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