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高高익선… 빅맨 외인시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전자랜드, 2m 넘는 심스·탐슨 영입
亞 쿼터 제외하면 2m 미만 2명뿐
‘멀티 농구’ 다양한 플레이 활용 가능
서울신문

위에서부터 전자랜드 심스(208㎝), 탐슨(204㎝), 현대모비스 롱(208㎝), KGC 클락(208㎝).


단신 외국인 선수의 시대는 끝난 것일까. 프로농구 각 구단들이 2m가 넘는 빅맨 위주로 새 시즌을 준비하며 ‘고고익선’(높으면 높을수록 좋다) 바람이 불고 있다.

인천 전자랜드는 8일 “미국 국적의 헨리 심스(208㎝)와 에릭 탐슨(204㎝)으로 외인 구성을 마쳤다”고 발표했다. 전자랜드 관계자는 이날 서울신문과의 통화에서 “예년에는 작더라도 기동력까지 겸비한 선수를 뽑기도 했는데 강상재의 입대로 높이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을 것 같았다. 국내 전력이 약한 것도 사실이다 보니 2m가 넘는 외인을 뽑게 됐다”고 설명했다. 전자랜드는 지난 시즌 팀을 거쳐간 3명의 외인(머피 할로웨이, 섀넌 쇼터, 트로이 길렌워터) 모두 2m에 미치지 못했다.

전자랜드뿐만 아니라 올해 대부분의 외인 선수 키가 2m가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까지 한국농구연맹(KBL)에 공식 등록된 새 시즌 외국인 선수(아시아 쿼터 제외) 중 2m가 안 되는 경우는 창원 LG 리온 윌리엄스(196.6㎝), 서울 SK 자밀 워니(199.8㎝)에 불과하다.

전자랜드 외인 듀오 외에 원주 DB 치나누 오누아쿠(206㎝)와 저스틴 녹스(202㎝), SK 닉 미네라스(200㎝), 부산 KT 마커스 데릭슨(201㎝)과 존 이그부누(211㎝), 안양 KGC 얼 클락(208㎝)과 라타비우스 윌리엄스(203㎝), LG 캐디 라렌(204㎝), 고양 오리온 제프 위디(213㎝)와 데드릭 로슨(206㎝), 울산 현대모비스 숀 롱(208㎝)과 자키넌 간트(203㎝) 모두 공식 프로필상 2m 이상이다. 전주 KCC와 서울 삼성도 장신 영입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KBL은 장신 일변도의 외인 구성을 막기 위해 다양한 실험을 해 왔다. 2015~16시즌을 앞두고 팀당 2명 중 최소 1명은 193㎝ 이하 단신을 뽑도록 규정을 변경했고 단신 외인들은 화려한 테크닉을 겸비한 스피드 농구를 선보이며 화제를 이끌었다. 2018~19시즌에는 아예 장신 200㎝ 미만, 단신 186㎝ 미만의 극약 처방을 하기도 했다. 많은 논란 끝에 한 시즌 만에 철회되긴 했지만 단신 영입은 2019~20시즌에도 이어져 오리온의 경우 조던 하워드(176㎝)를 뽑기도 했다.

그러나 실험을 마친 구단들의 선택은 결국 장신이었다. 이에 대해 KBL 관계자는 “모두가 뛰는 멀티 농구가 트렌드로 정착돼 있는 만큼 키 큰 선수에게 무조건 골밑 위주 공격을 시키려는 것보다 다양한 플레이를 펼치기 위한 선택이라고 본다”면서 “지난 시즌 국내 선수들의 활약도 좋았던 만큼 장신 외인이 들어온다고 해서 농구 흐름이 바뀌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