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3 (월)

스포츠계 ‘자체 방역 안전망’을 갖추자 [‘포스트 코로나’를 준비하는 체육 (4)]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방역 시스템 구축

[경향신문]

경향신문

지난 3월 잠실종합운동장에 체육시설 휴관을 알리는 현수막이 붙어 있다. 최희진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국민체육진흥공단·스포츠안전재단
시설물 안전·사고 예방 업무 담당
현재 방역 책임진 기관 따로 없어
문체부 컨트롤타워로 역량 키워야

코로나19의 대유행은 신종 감염병이 언제든지 발생해 일상을 정지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일깨웠다. 스포츠계는 2020 도쿄 올림픽 연기라는 초유의 사태뿐만 아니라 국가대표 훈련 해산, 학교 체육 중단, 생활체육 마비 등 전례 없는 변화와 단절의 시기를 겪었다. 코로나19 유행이 장기화 국면으로 접어들고, 또 다른 감염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존하는 만큼 스포츠계가 자체적인 방역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코로나19 발생 이후 정부는 국무총리가 본부장을 맡는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컨트롤타워로 두고, 범부처적으로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사안에 대해서는 중앙방역대책본부(질병관리본부)와 중앙사고수습본부(보건복지부)를 중심으로 논의하고 있다. 코로나19가 급속히 확산되던 시기에 통일된 대응책을 마련해 일사불란하게 실행했고, 철저한 방역을 통해 한때 900여명까지 치솟았던 일일 신규 확진자 수를 20명대로 떨어뜨리는 데 성공했다.

경향신문

정부가 이렇게 큰 불을 끄는 사이 스포츠계는 혼란을 겪었다. 그러나 현장의 요구에 응답하려는 정책적 시도는 거의 눈에 띄지 않았다. 문화체육관광부의 스포츠 관련 대책은 스포츠산업 일자리 문제에만 집중됐다.

문체부는 지난 3월부터 스포츠 기업을 위한 500억원 특별융자, 민간체육시설 1500여곳 방역물품 지원 등을 시행했고 지난 5월 200억원 융자 추가 시행을 발표했다. 반면 국가대표를 포함한 엘리트 체육, 생활체육, 장애인 체육 등 정부의 개입이 필요한 다른 부문에 대해서는 별다른 대책이 나오지 않았다. 감염병 발생 시 스포츠 분야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체육계 내에 방역 거버넌스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이유다.

성문정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수석연구위원은 “감염병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1차적으로 범정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필요하고 여기서 나오는 방역 지시를 이행해야 하는 것은 맞다”면서 “이와 동시에 영역별, 부문별 특수성을 고려해 현장 의견을 수렴하고 대안을 마련할 수 있는 2차 컨트롤타워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성 수석연구위원은 “문체부가 2차 컨트롤타워가 되고 대한체육회, 국민체육진흥공단, 스포츠안전재단, 대학스포츠협의회, 학교체육진흥회 등 각 단체의 대표자들이 모여 상황을 점검하고 협의하면서 대안을 창출할 수 있는 의사 결정 구조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코로나19 유행을 계기로 스포츠계의 방역·위생을 상시 관리하는 조직을 신설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현재 스포츠 안전사고 예방 교육과 안전사고 실태 조사 등은 스포츠안전재단이 맡고 있고, 스포츠 시설물 안전 점검은 국민체육진흥공단이 수행하고 있지만 방역을 책임지고 있는 기관은 없다. 전문가들은 정부가 이들 두 기관 중 한 곳에 방역·위생 관리 책임을 맡기고 예산, 인력 등을 지원해 감염병 유행 시 대응할 수 있는 방역 역량을 기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국민체육진흥공단 관계자는 “현재 중대본과 문체부 지침을 따라 스포츠센터 휴관, 스포츠 기업 특별 융자 시행, 민간체육시설 방역물품 지원 등을 하고 있지만 이 밖에 다른 방역 업무는 맡고 있지 않다”며 “방역과 관련해 스포츠계에 자체적인 안전대책이 있으면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희진 기자 daisy@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