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자신감 얻고 안정된다…머리칼 휘날리는 투수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선수들 헤어스타일 개성시대

김원중·배재환·김범수 단발머리

스타일 변화로 스트레스 해소도

MLB “속임수 동작에 유리” 분석

중앙일보

이대은, 김범수, 김원중, 배재환(왼쪽부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올해 프로야구 KBO리그에서는 단발머리 선수가 눈에 많이 띈다. 그중에서도 특히 투수가 많다. 김원중(27·롯데 자이언츠), 배재환(25·NC 다이노스), 김범수(25·한화 이글스)가 대표적이다. 2군에 내려간 이대은(31·KT 위즈), 장필준(32·삼성 라이온즈)도 빼놓을 수 없다. 전에는 눈 씻고 찾던 단발머리가 이제는 쉽게 눈에 띈다.

팀 분위기가 자유로운 메이저리그(MLB)에는 머리를 기르는 선수가 많이 보인다. 하지만 한국은 헤어스타일 하나까지도 엄격한 규율을 강조했다. 과거에는 짧고 단정한 머리가 하나의 표준형이었다. 중고교 선수는 까까머리가 일종의 불문율이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1990년대 투수 이상훈(49)의 장발은 큰 화제가 아닐 수 없었다. 공을 던질 때마다 휘날리는 긴 머리가 갈기 같아 별명도 ‘야생마’였다. 1995년 20승을 올릴 만큼 성적도 좋아 그의 장발을 뭐라 할 사람이 없었다.

긴 머리 투수는 디셉션(deception·공을 뒤에 숨겼다가 던지는 속임수 동작)에 유리하다는 주장도 있다. MLB네트워크는 지난해 6월 장발 투수 조시 헤이더(26·밀워키 브루어스) 투구 스타일을 분석했다. 헤이더 투구 때 휘날리는 긴 머리가 손을 가려 타자가 타격 타이밍을 잡는 데 애를 먹는다는 내용이었다.

중앙일보

이상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투수들이 디셉션 때문에 일부러 머리를 기르는 건 아니다. 자신감 고취와 심리적 안정을 위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김범수는 “이상훈 선배님의 자신감에 반했다. 그런 모습을 닮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그런데 정작 이상훈은 “남이 내 머리를 만지는 게 싫어서 미용실을 자주 가지 않아 머리카락을 길렀다”고 알려져 있다.

특별한 의미 없이 길렀던 이대은도 “머리를 기르니 마운드에서 더 강해 보이는 것도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기른 이대은은 요즘 머리를 묶는다. 이대은을 따라 머리를 기르는 선수가 한동안 KT에 많았다. 올해 마무리를 맡은 김원중은 얼굴에 고스란히 드러나는 감정을 감추려고 길렀다. 그는 “위기에 몰리면 얼굴이 빨개진다. 그래서 위압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머리를 기르면서 마음의 안정도 찾았다”고 말했다.

스트레스 해소 목적으로 기르기도 한다. 배재환은 머리를 기르면서 염색·파마 등으로 헤어스타일을 자주 바꿨다. 그는 “변화를 주는 게 좋다”고 말했다. 매일 똑같은 유니폼을 입는 선수 입장에서 외모 면에서 변신할 수 있는 건 헤어스타일이 유일하다. 류현진(33·토론토 블루제이스)도 경기가 안 풀리거나 기분 전환이 필요하면 염색이나 이발을 한다. 지난해 9월 주춤할 때는 머리를 회색으로 물들이고 살아났다.

긴 머리나 염색, 파마 등 파격적인 헤어스타일에 대해 “기강이 해이해졌다”와 같은 말은 프로야구에서 사라졌다. 오히려 지도자는 슬럼프에 빠진 선수가 머리에 변화를 줘 각오를 다지는 걸 반긴다. 프로 선수로서 팬에게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주는 게 필요하다는 인식이 생겼다. KBO리그의 단발머리 열풍은 일회성으로 끝날 것 같지 않다.

박소영 기자 psy0914@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