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코로나의 역설] 일본 골프용품 수입 14.6% 급증... 무역적자, 사상 최고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용석 기자 = 일본 골프용품 수입액이 급증, 일본과의 골프용품 무역적자액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레저산업연구소가 25일 관세청의 골프용품 수출입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골프용품의 對日(대일) 수출입 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으로부터의 골프용품 수입액은 2억4835만 달러로 2019년보다 14.6% 급증했지만 골프용품 수출액은 875만 달러로 4.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핌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골프용품의 對日 무역적자액은 2억 3960만 달러로 2019년보다 15.5% 증가하면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일 골프용품의 무역적자액은 2011년 1억 9736만 달러에서 2013년 1억 6,911만 달러로 축소되었지만 2018년엔 2억 1871만 달러로 늘어났다. 국내 전체 골프용품 무역적자액에서 차지하는 대일 골프용품의 무역적자액 비중은 지난해 56.6%를 차지했다.

연구소 측은 "대일 무역적자액이 확대된 것은 지난해 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사태의 영향으로 국내 골프인구가 확대되면서 일본산 골프용품의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2019년 7월부터 시작된 일본제품 불매운동(No Japan)의 영향이 일본 골프용품 수입에는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노저팬의 영향을 받아 일본차의 국내 판매대수가 43.9% 급감한 것과 대조를 이룬다.

일본으로부터의 골프용품 수입액은 수출액의 28.4배에 달해 2018년(20.2배)은 물론 2019년(23.6배)보다 확대됐다.

일본으로부터의 골프용품 수입액을 보면, 골프채가 가장 많다. 지난해 일본으로부터의 골프채 수입액은 2억2000만달러로 2019년보다 13.9% 증가하면서 전체 일본 수입의 89.1%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샤프트 등의 골프채 부분품 수입액이 1742만 달러, 골프공 수입액은 734만 달러 순이었다.

반면 일본으로의 골프용품 수출액을 보면, 골프용 가방이나 신발 등의 기타 골프용품이 537만 달러로 전체 수출액의 61.6%를 차지했다.

국내 골프용품의 전체 수입액은 지난해 4억 8,155만 달러로 골프용품 수출액 5791만 달러보다 8.3배 많았다. 골프용품의 무역수지는 지난해 4억2364만 달러 적자로 2019년보다 15.2% 확대되면서 적자폭이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다.

서천범 소장은 "대일 골프용품 무역적자액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한 것은 일본제품 불매운동이 잠잠해지면서 국내 골퍼들이 눈치보지 않고 품질이 좋은 일본 골프용품을 구매하기 때문이다. 애국 마케팅을 지양하고 국산 골프용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fineview@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