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SBS 드라마 ‘조선구마사’에 대한 역사 왜곡 논란이 짙은 가운데, 기업들이 잇따라 광고를 철회하며 빠르게 손절하는 모양새다.
앞서 지난 22일 첫 방송 된 SBS 드라마 ‘조선구마사’ 1회에는 중국 음식인 월병과 피단으로 추정되는 소품이 등장해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다음날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드라마 ‘조선구마사’에 관한 역사 왜곡 논란의 파장이 매우 크다”며 “이미 중국 누리꾼들은 웨이보를 통해 ‘당시 한국의 전형적인 모습’이라며 드라마 장면을 옹호하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성 교수는 “특히 최근에는 중국이 한복, 김치, 판소리 등을 자신의 문화라 주장하는 ‘新 동북공정’을 펼치고 있는 와중에 또 하나의 빌미를 제공한 셈”이라며 “이미 한국 드라마는 글로벌화가 되어 정말로 많은 세계인이 시청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의 훌륭한 문화와 역사를 알리기도 시간이 모자란데, 왜곡된 역사를 해외 시청자들에게 보여서는 안 될 것”이라고 일침했다.
박계옥 작가는 이전에 tvN ‘철인왕후’를 통해서도 역사 왜곡 논란을 불어온 바 있다. ‘철인왕후’는 중국에서 소설로 출간된 후 제작된 웹드라마 ‘태자비승직기’를 원작으로 했다. 혐한 논란이 인 바 있는 원작자의 작품을 가져온 것과 더불어, 극 중 실존인물인 순원왕후와 신정왕후를 우스꽝스럽게 표현해 질타를 받았다. 또한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조선왕조실록을 주인공이 “조선왕조실록도 한낱 지라시네”라고 비하하는 대사도 시청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조선구마사' 안 국무당 무화(정혜성 역·사진 왼쪽)의 모습과 중국 드라마 속에서 그린 무녀의 모습. |
‘조선구마사’ 안에서도 무녀 캐릭터 무화의 의상 콘셉트가 중국풍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극 중 ‘국무당 도무녀’라는 설정의 무화는 앞머리를 살짝 둥글게 내린 채 긴 반묶음을 한 긴 머리를 늘어뜨리고 흰색 의복을 입고 있다.
논란이 커지자 제작진 측은 먼저 소품 논란에 대해 “명나라를 통해 막 조선으로 건너온 서역의 구마사제 일행을 쉬게 하는 장소였고, 명나라 국경에 가까운 지역이다 보니 ‘중국인의 왕래가 잦지 않았을까’하는 상상력을 가미해 소품을 준비했다”면서 “이는 극 중 한양과 멀리 떨어진 변방에 있는 인물들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설정이었을 뿐, 어떤 특별한 의도가 전혀 없었다”고 밝혔다.
이어 “다만 예민한 시기에 오해가 될 수 있는 장면으로 시청의 불편함을 드려 죄송하다. 향후 방송 제작에 유의하도록 하겠다”고 사과의 뜻을 전했다.
그러나 드라마 제작 지원 및 협찬에 참여했던 기업들에 대한 불매 운동 조짐이 나타나자 발 빠르게 광고를 철회하고 있다.
강소영 온라인 뉴스 기자 writerksy@segye.com
사진=SBS 드라마 ‘조선구마사’ 방송화면 캡처, 제이와이드컴퍼니, 현대미디어 제공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