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 '올림픽'

[올림픽] 평창 원조 '무한 댄스 환영' 세리머니…도쿄·베이징서도 재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팝송 '이매진'은 3회 연속 나왔고, 드론 쇼는 평창·도쿄에서만 활약

연합뉴스

[올림픽] 대한민국 선수단 입장
(베이징=연합뉴스) 김도훈 기자 = 4일 오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대한민국 선수단이 입장하고 있다. 2022.2.5 superdoo82@yna.co.kr


(베이징=연합뉴스) 김동찬 기자 = 4일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는 어딘지 낯익은 장면들이 몇 개 눈에 띄었다.

사실 올림픽 개회식에서 아주 독창적인 장면을 만들어내기란 쉽지 않지만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 화제가 됐던 장면이 지난해 도쿄 하계대회와 이번 베이징 동계올림픽 개회식에서도 비슷하게 재현됐다.

바로 선수 입장 시 행사장 옆에 도열한 자원봉사자들의 '무한 댄스 환영' 세리머니였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에서는 개회식이 끝난 뒤 체감 온도 영하 8.7도의 강추위 속에 상의를 탈의하고 입장한 통가 기수 피타 타우파토푸아 못지않게 자원봉사자들의 '댄스 환영' 세리머니가 화제가 됐다.

1시간 넘게 이어진 선수단 입장 때 자원봉사자들이 그야말로 쉬지 않고 격렬한 춤사위를 펼치며 선수들을 환영한 것이다.

대회가 끝난 지 4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유튜브 등에서 '평창 무한 댄스'로 검색하면 이들의 열정적인 '무한 댄스'를 찾아볼 수 있다.

연합뉴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개회식 선수 입장 당시 '무한 댄스' 중인 자원봉사자들.
(평창=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9일 오후 강원도 평창 올림픽스타디움에서 열린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에서 남북 선수단 공동기수인 남측 원윤종, 북측 황충금이 한반도기를 앞세우고 동시 입장하고 있다. 2018.2.9 yatoya@yna.co.kr


이들의 댄스가 호평을 받자 지난해 도쿄 하계올림픽과 올해 베이징 동계올림픽에도 이와 비슷한 자원봉사자들의 '댄스 환영'이 펼쳐졌다.

다만 춤의 통일성이나 끊기지 않고 계속 이어지는 일관성, 보는 재미 등에서 평창을 따라잡기는 어려웠다는 평이다.

평창 동계올림픽 개·폐회식을 총연출한 송승환 감독은 "평창 이전에도 자원봉사자들이 선수단 입장 길 안내를 맡는 역할이 있었다"며 "다만 선수 입장 내내 계속 춤을 추며 환영하는 것은 평창이 처음이었다고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송승환 감독은 "대부분 선수 입장 때 클래식 음악이 배경으로 깔리는데 평창 때는 '노란 셔츠 입은 사나이'부터 방탄소년단의 최신곡까지 K팝 위주로 틀면서 자원봉사자들이 계속 춤을 춰주셨다"고 회상했다.

도쿄와 베이징에서도 평창의 '무한 댄스 환영' 세리머니를 재현한 것 같다는 말에는 "아마 이전 대회에서 좋았던 부분을 활용해 발전시켜나가려고 했을 수도 있다"고 답했다.

연합뉴스

2021년 도쿄올림픽 개회식 입장하는 한국 선수단.
[연합뉴스 자료사진]



평창(2018년)과 도쿄(2021년), 베이징(2022년)을 잇는 '동북아 3국 올림픽' 개회식의 공통점 중 또 하나는 존 레넌의 노래 '이매진'(Imagine)이 모두 나왔다는 것이다.

다만 평창과 도쿄에서 등장한 '드론 쇼'는 이번 베이징에서는 나오지 않았다.

대신 '입춘'(立春)과 영어로 봄을 뜻하는 '스프링'(Spring) 등의 글자가 불꽃놀이로 표현됐다.

또 최근 올림픽 개·폐회식이 현장에서 관전하는 것보다 다양한 기술 효과 등을 가미해 TV 시청 편의를 더 우선하는 추세로 가는 것도 이번 베이징 올림픽 개회식에서 확인된 부분이었다.

emaili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