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벤투호, EAFF-E1 챔피언십서 6회 우승 도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투데이

2015년 대회 우승 장면 / 사진=대한축구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투데이 이서은 기자] 한국이 2022 EAFF(동아시아축구연맹)-E1 챔피언십 우승을 노린다. 대회 시작에 앞서 대표팀의 대회 참가 역사를 되돌아본다.

지난 2003년 출범한 EAFF-E1 챔피언십은 올해로 9회째를 맞는다. 동아시아 10개국의 축구 발전과 건전한 경쟁을 위해 창설된 이 대회는 한국, 북한, 일본, 중국이 우승을 다투며 이어져왔다. 유럽에 진출한 선수들의 출전이 힘들기 때문에 국내파 선수들의 A매치 등용문이 되기도 했다.

남자부에서 한국은 그동안 여덟번의 대회에서 다섯번 우승을 따낼 정도로 절대 강자로 군림해 왔다. 여자대표팀은 2005년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한 이후에는 한번도 왕좌에 오르지 못한 아쉬움을 갖고 있다.

2003년 일본에서 개최했던 제1회 대회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이 자동 진출하고, 북한이 불참한 틈을 타 홍콩이 본선에 올라왔다.

안정환, 유상철, 최진철 등 2002 월드컵 멤버들을 앞세운 한국은 홍콩과 중국을 꺾고, 마지막 경기에서 일본과 0-0으로 비겨 2승1무로 우승을 차지했다.

아시안컵 예선에서 베트남, 오만에 패하는 '오만 쇼크'로 부진을 거듭하던 쿠엘류 감독은 초대 챔피언에 올라 체면을 세웠다.

그러나 뒤에서 반칙을 가한 중국 선수의 뒤통수를 후려치고 퇴장당한 이을용의 이른바 '을용타'가 팬들의 기억속에는 우승보다 더 강렬했다.

2005년 한국에서 열렸던 제2회(한국 개최) 대회는 대전, 전주, 대구에서 열렸다. 여자부도 도입됐다. 남녀 모두 남북한과 일본, 중국이 참가했다.

본프레레 감독이 이끈 남자대표팀은 1차전에서 중국 선수 3명이 퇴장당했지만 1-1로 비겨 실망을 안겼다. 이어 북한과 비기고, 일본에 0-1로 져 꼴찌를 기록했다. 독일 월드컵 진출권을 따냈던 본프레레는 얼마뒤 경질됐다.

반면 안종관 감독의 여자대표팀은 19살 박은선의 활약으로 중국과 북한을 잇따라 꺾고 2승1무로 우승을 차지했다. 여자 A대표팀이 타이틀이 걸린 대회에서 우승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고 아직도 유일하다.

2008년 중국에서 열린 제3회 대회에서는 허정무 감독이 새로 부임한 남자 대표팀은 1차전에서 중국에 뒤지다가 박주영의 두골과 곽태휘의 통쾌한 발리슛으로 3-2 짜릿한 역전승을 거뒀다. 이어 북한, 일본전은 '왼발 도사' 염기훈의 골로 두 경기 모두 1-1로 비겼다. 일본과 승점, 골득실까지 같았으나 다득점에 앞서 우승했다.

한편, 저돌적인 돌파를 과시한 북한의 정대세는 '인민 루니'로 불리며 새로운 스타로 떠올랐다. 여자부는 일본이 우승했고, 한국은 3패로 최하위에 그쳤다.

2010년 일본에서 열린 제 4회에서는 김판곤 감독이 이끄는 홍콩이 북한을 제치고 본선에 참가했다. 허정무 감독의 한국은 홍콩을 대파했지만, 2차전에서 중국에 0-3의 충격적인 패패를 당했다.

32년동안 이어진 중국전 무패 '공한증' 역사도 끝났다. 우려속에 열린 일본전은 선제골을 허용하고 김정우가 퇴장까지 당했다. 하지만 곧바로 이동국, 이승렬의 골로 뒤집은 뒤, 후반에 김재성이 쐐기포를 터뜨렸다. 통쾌한 3-1 역전승으로 제2의 '도쿄대첩'을 완성했다.

중국이 우승했고, 한국은 2위였다. 여자부에서는 일본이 2회 연속 우승을 차지했다.

제5회 대남자부에서 호주가 특별 초청돼 본선에 나왔다. 홍명보 감독을 새 사령탑으로 맞이한 한국은 호주, 중국과 연속 무득점 무승부를 기록했다. 마지막 일본전은 오랜만에 잠실운동장에서 열렸다.

일본 응원석에 욱일기가 걸리고, 붉은악마는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는 대형 플래카드로 맞불을 놓았다. 경기 외적인 상황으로 어수선한 가운데 한국은 윤일록의 동점골을 못지키고 1-2로 졌다.

우승은 일본이 차지했고, 한국은 3위. 여자대표팀도 지소연의 맹활약하며 일본을 눌렀으나, 1승2패로 3위에 만족해야 했다.

2015년 제6회 대회는 중국 우한의 찜통 더위속에 열렸다. 아시안컵 준우승 기세로 쾌속질주를 계속하던 슈틸리케호는 중국과의 첫경기에서 가볍게 2-0 승리를 거뒀다. 권창훈, 김승대, 이종호 등 새 얼굴들이 맹활약했다. 이어 일본, 북한과는 비겼어도 1승2무로 세번째 우승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여자대표팀은 아깝게 2위를 차지했지만 중국, 일본을 꺾으며 선전했다. 특히 일본전 후반 추가시간에 2-1 역전극을 완성한 전가을의 환상적인 프리킥 골은 여자대표팀 역사상 최고의 골로 선정되기에 손색이 없었다.

2년 뒤 일본에서 열린 제7회 대회에서는 새로 대표팀을 맡은 신태용 감독이 잇따른 비판을 잠재울지가 관심사였다. 중국과의 첫 경기는 2-2로 비겼지만, 북한은 1-0으로 꺾었다. 마지막 일본전이 고비였다.

시작하자마자 페널티킥 골을 허용해 불안하게 출발했다. 그러나 이내 '전북 트리오' 김신욱, 이재성, 김진수 중심으로 공격이 불을 뿜었다. 김신욱의 두골에다, 정우영의 프리킥골로 전반을 3-1로 앞섰다.

후반에도 염기훈의 골로 4-1 대승을 거두고 우승을 차지했다. 패배 여파로 일본 감독 할릴호지치는 이후 사퇴했다. 여자부는 북한이 우승, 한국은 4위에 머물렀다.

직전인 제8회 대회는 부산에서 열렸다. 벤투 감독의 남자 대표팀은 홍콩을 2-0, 중국을 1-0으로 격파하고 일본을 맞았다. 전반에 터진 황인범의 골로 1-0 승리를 거두며 3회 연속이자 다섯번째 우승 트로피를 품에 안았다.

홈팀은 우승을 하지 못한다는 이 대회 남자부 징크스도 보기좋게 깨뜨렸다. 대회 내내 활약하며 일본전 결승골을 넣은 황인범은 MVP에 선정됐다.

한편, 콜린 벨 감독 체제로 새롭게 정비한 여자대표팀은 중국에 비기고 대만을 눌렀으나, 일본에 패해 아쉬운 2위를 차지했다.

[스포츠투데이 이서은 기자 sports@sto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