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무고사 극장 PK 골’ 인천, 광주와 극적인 무승부... 2경기 무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인천, 광주와 홈 경기서 1-1 무승부

후반 1분 광주 최경록 선제골... 후반 추가시간 무고사 PK 동점 골

이데일리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데일리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천=이데일리 스타in 허윤수 기자] 응원석 폐쇄 징계를 받은 인천유나이티드가 극적인 무승부로 기사회생했다.

인천은 25일 오후 7시 인천축구전용경기장에서 열린 하나은행 K리그1 2024 14라운드 안방 경기에서 후반 추가시간에 나온 무고사의 페널티킥 동점 골로 광주FC와 1-1로 비겼다.

귀중한 승점 1점을 얻은 인천(승점 18)은 2경기 연속 무패(1승 1무)를 이어갔다. 다잡았던 승리를 놓친 광주(승점 16)는 2경기 연속 무승(1무 1패)을 기록했다.

홈팀 인천은 3-4-3 전형으로 나섰다. 최전방에 무고사, 김성민, 박승호가 나섰고 허리에는 최우진, 김도혁, 문지환, 홍시후가 자리했다. 백스리는 델브리지, 요니치, 김동민이 꾸렸고 골문은 민성준이 지켰다.

원정팀 광주는 4-4-2 대형으로 맞섰다. 엄지성, 이건희가 공격을 이끌었고 문민서, 정호연, 최경록, 김한길이 지원했다. 김진호, 허율, 변준수, 이상기가 수비진을 구축했고 김경민이 골키퍼 장갑을 꼈다.

경기 초반 주도권은 광주가 쥐었다. 높은 점유율을 바탕으로 인천을 공략했다. 전반 13분 정호연이 중원에서 공을 가로챘다. 이어 중거리 슈팅까지 시도했으나 골키퍼 선방에 막혔다. 전반 22분에는 인천 수비수가 걷어낸 공을 김한길이 잡았다. 수비수를 체치고 골문을 겨냥했으나 골키퍼 정면이었다.

인천은 전반 막판 득점 기회를 잡았다. 전반 45분 최우진의 크로스를 무고사가 머리로 떨어뜨렸다. 김성민이 왼발 터닝슛으로 연결했으나 빗나갔다.

인천은 후반전 시작과 함께 박승호, 김성민을 빼고 음포쿠와 김보섭을 투입했다. 인천이 먼저 변화를 택했으나 선제골은 광주의 몫이었다. 후반 1분 왼쪽 측면에서 엄지성이 길게 올려준 공을 최경록이 정확한 헤더로 골망을 흔들었다.

이데일리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격을 당한 인천이 반격에 나섰다. 후반 5분 코너킥 상황에서 최우진의 크로스를 무고사가 발리슛으로 연결했으나 골대 위로 떴다. 동점 골이 필요한 인천은 부상에서 돌아온 신진호와 김건희까지 투입하며 총력전에 나섰다. 후반 37분 신진호의 크로스를 무고사가 머리에 맞혔으나 정확도가 떨어졌다.

광주가 경기에 쐐기를 박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놓쳤다. 전방 압박을 하던 정지용이 인천 수비수의 패스를 끊어냈다. 정지용이 일대일 기회에서 슈팅을 시도했으나 골키퍼 선방에 막혔다.

경기 막판 양 팀의 희비가 엇갈렸다. 후반 추가시간 비디오 판독(VAR)을 통해 광주 빅톨의 핸드볼 반칙이 지적되며 페널티킥이 선언됐다. 키커로 나선 무고사가 성공하며 짜릿한 무승부를 거뒀다.

이데일리

응원석 폐쇄 징계를 받은 인천의 모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편 이날 경기는 ‘물병 투척’ 사태로 징계를 받은 인천의 첫 홈 경기였다. 한국프로축구연맹은 인천 구단에 제재금 2000만 원과 홈 5경기 응원석 폐쇄 징계를 내렸다. 인천은 자체 징계를 통해 리그 5경기와 코리아컵 1경기 총 6경기 응원석을 전면 폐쇄한다.

텅 빈 인천 응원석에는 ‘건전한 응원 문화를 만들어 나가겠습니다’라는 걸개가 대신했다. 일반석에서는 킥오프 후와 득점, 반칙 등 특정 상황에서 응원하는 모습도 보였다.

앞서 인천 관계자는 집단 응원 금지에 대해 “득점 상황이나 세트 플레이 때 나오는 간헐적인 응원은 말릴 수 없으나 응원을 주도하는 행위와 깃발, 북 같은 응원 도구는 금지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