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1.07 (화)

‘트렁크’김규태 감독 “멜로 자체보다 관계, 심리, 외로움, 사랑의 가치에 집중했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헤럴드경제

김규태 감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헤럴드경제 = 서병기 선임기자]김규태 PD는 스타일리스트다. KBS 재직 초기 시절인 2004년 연출한 ‘드라마시티 - 제주도 푸른밤’은 가슴 아픈 명작 드라마로 오래동안 기억에 남아있다.

그후 김 PD는 노희경 작가와 콤비를 이루며, 2008년 KBS ‘그들이 사는 세상’, 2011~2012년 JTBC ‘빠담빠담… 그와 그녀의 심장박동 소리’, 2013년 SBS ‘그 겨울, 바람이 분다’, 2014년 ‘괜찮아, 사랑이야’, 2018년 tvN ‘라이브’, 2022년 tvN ‘우리들의 블루스’ 등 6편을 함께 했다.

동시에 2009년 KBS ‘아이리스’, 2016년 SBS ‘달의 연인 - 보보경심 려’ 등 다양한 장르의 드라마들을 연출했다. 이번에는 넷플릭스 오리지널 8부작 ‘트렁크’를 연출했다.

‘트렁크’는 호숫가에 떠오른 트렁크로 인해 밝혀지기 시작한 비밀스러운 결혼 서비스와 그 안에 놓인 한정원(공유), 노인지(서현진), 두 남녀의 이상한 결혼 이야기다. 이상한 결혼이란 ‘기간제 결혼’을 말한다. 이를 통해 인간의 감정을 세밀하게 담아낸다. 장르는 미스터리 로맨스물이라할 수 있다. 최근 삼청동의 한 카페에서 김규태 PD를 만나 인터뷰했다.

-미스터리, 로맨스, 드라마 등 복합적인 장르 같은데, 연출의 고민도 있었을 것 같다.

▶작품을 할 때마다 작품에 적합한 연출 방식을 고민하는 것은 모든 연출자들의 과제다. 이번에는 작품 성격에 맞는 형식미학을 갖추려고 노력했다. 외피적으로는 살인 미스터리지만 내가 하고싶은 것은 심리, 관계, 심리적인 미스터리에 관심을 가지려고 했다.

헤럴드경제

트렁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체적인 무드 측면에서 어둡고 낯설 수 있지 않을까.

▶수학공식처럼 떨어지는 건 아니다. 어둡고 낯선 정서적 이미지가 묘하게 끌려 흡입되는 감상적인 심리로 표현됐으면 했다. 이런 모순적인 무드를 잡았려고 했다. 이를 위해 스태프와 상의했다. 한정원(공유)의 집 세트 디자인과 촬영조명 방식 인물, 소품을 고려해서 배치했다. 한정원의 가장 중요한 오브제인 샹들리에가 있고, 나선형 계단, 원형 기둥, 아치형 벽 등이 모두 곡선이다. 이런 것들이 편안하게 느껴져야 하는데 차가운 폐쇄, 뒤틀린 반대의 이미지로 다가온다. 이를 차가운 곡선미로 명명했다. 이런 심리적 언밸런스속에 둘의 만남과, 감정을 쌓아간다. 과거의 역사와 지금의 관계성을 묘한 연출력으로 풀어내 궁금증과 호기심을 자아내고 싶었다.

-그런 것들이 시청자들에게는 어떻게 받아들여질 것 같은가.

▶처음에는 엿보기로 바라보다 실체를 알 수 없지만, 어느순간 문이 열려 가까이 다가갈 수 있지 않을까.

결핍과 외로움 등 건강하지 않는 것들이 등장인물과 섞이면서 건강성을 회복하게 되는 감상적인 패턴이다. 이런 게 은연중에 발휘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이런 게 ‘트렁크’의 무드다. 만약 ‘트렁크’를 좋아하는 시청자는 이런 걸 가지고 반응하지 않았을까?

-멜로 부분에 대해 설명해달라

▶전형적인 로맨스 감정은 아니다. 남녀 사랑의 감정에는 많은 감정선이 있는데, 대중적으로 가기 위해서는 남녀 사랑을 넣게된다. 하지만 ‘트렁크’는 지금까지 많이 봤던 멜로 톤과는 다르다. 과거의 만남, 기간제 결혼 등 원작 내용 외에도 미스터리를 각색해 증폭시켰다. 결혼이라는 제도를 재조명 하려는 건 아니다. 환경과 시대가 변화하면서 가치도 바뀔 수 있다. 그러면서 다양한 시각과 관점이 나올 수 있겠다. 그 부분은 한번 생각해볼 수 있을 듯하다. 멜로 자체보다 관계, 심리, 외로움, 사랑의 가치에 집중했다.

헤럴드경제

한정원의 집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오브제의 활용이 돋보인다.

▶샹들리에는 화려하지만 비어있다. 일종의 결핍이랄까. 한정원으로서는 감시 당하고 지배 당하는 트라우마일 수도 있다. 트렁크, 카약 등도 상징 오브제다.

재질감을 고민했다. 트렁크는 5천만원 짜리 명품이라는 설정값이 있다. 이걸 어떻게 납득시키지? 디자인을 하려고 하니 어려웠다. 고가 명품은 수십년간 소비자에게 각인시킨 게 있는데, 우리가 직접 만들기는 어렵다. 그래서 고가 브랜드를 참고했다. 디테일을 표현하기는 어려웠다.

-노인지(서현진)와 한정원(공유)이 있고, 한정원의 전처인 이서연(정윤하)이 나온다. 전남편에게 기간제 결혼을 하게 만드는 이서연은 독특한 캐릭터인 것 같다.

▶이서연은 임신한 아이를 없애려고 차에 뛰어드는 이상한 캐릭터다. 처음부터 그렇게 설정돼 있었다. 캐릭터로 보면 불쌍하고 비정상적이어서 안쓰럽다. 정윤하 배우도 이서연을 그렇게 바라본 듯하다. 이분법적으로 보면 서연은 악녀지만, 내면을 보면 연민이 간다.

-음악의 사용이 중요한 것 같다.

▶의도성 있는 음악은 감정적 힘을 주도하는 경우가 있을 때 사용하는데, ‘트렁크’도 그렇게 했다. 음악감독과 톤을 얘기하면서 멜로와 스릴러 두가지가 다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스타트의 이미지 충돌에서 기이하고, 파괴적이며, 관능적인 느낌이 하나씩 들어왔으면 했다. 뭔가 긁어줬으면 했다. 과거와 현재 신디사이즈 기계음을 일관적으로 배치해 느낌을 선명하게 주려고 했다.

성인적인 관능미를 주는 멜로디로 탱고를 사용했는데, 이게 표정의 예술이더다.(탱고를 출때 서현진의 표정을 다시 한번 보면 알 수 있다.)

헤럴드경제

트렁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현진 배우와의 작업에 대해.

▶스타일, 콘셉을 배우와 스태프가 공유했다. 집도 생활감이 떨어지는 비현실적이기는 한데, 미니멀이다.

의상은 원톤이길 바랬다. 그걸 잘 지켜준 배우가 서현진이다.

서현진이 탱고 춤을 추며 몸을 숙일 때, 뼈만 봐도 슬픔을 제대로 표현해주었다. 이 한 컷으로 모든 걸 설명해주었다. 서현진이 과거 약혼상대였으나 잠적해버린 도하(이기우)가 가고 고통을 보여주어야 하는데, 호수가에서 모든 걸 잃어버린 눈빛과 표정을 취했다. 내가 생각한 것 보다 훨씬 더 깊이있게 표현했다.

-공유 배우와의 작업은 어떠했나.

▶딱 부러진 한 단어로 표현하기는 어렵다. 서현진은 명확하고, 정확한 톤이라면, 공유는 섬세한 톤이다. 서로 다른 연기 패턴이다. 초반 나이트클럽에서 환각을 느끼는 눈빛이라든지 침대에서 잠을 못 이뤄 한숨을 쉬는 이런 장면은 조금 더해달라고 요구했다. 공유은 타고난 센스가 있다. 캐릭터가 느끼는 강도를 잘 잡는다. 연기 잘하는 배우는 이걸 계산적으로 측정하면서 연기해 전달하지만, 이런 계산이 간혹 들킬 때가 있다. 이걸 공유는 본능적으로 한다. 그게 디테일하고 좋아 내가 혼자서 피식 하고 웃었다. 이건 흡족해서 그런 것이다.

공유의 스태프가 휴대폰으로 찍는데 이걸 모니터링 하다 “감독이 왜 웃지”라고 물어보더라. 공유는 멜로 넘사벽이다. 햄버거 집에서의 눈빛과 표정을 보면 알 수 있다.

헤럴드경제

김규태 감독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규태 감독님은 노희경 작가와 오랜 기간 호흡을 맞췄다. 앞으로의 계획은.

▶노희경 작가의 휴먼 드라마를 많이 연출하다 보니 나도 좋았고, 많이 성장했다. 노희경 작가는 선생님이자 동료이며, 파트너다. 나의 연출 경력에 소중한 선물이다. ‘우리들의 블루스’는 내가 어릴 때, 작가님과 기회가 된다면 도시가 아닌 이런 시골에서 가족과 삶의 이야기를 하면 좋을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그 꿈이 이뤄진 거다.

전원을 배경으로 하는 그런 모티브가 ‘우리들의 블루스’를 통해 성취됐다. 내가 하자고 해서 한 게 아니고, 작가님이 공간 배치, 어촌 마을을 생각했다. 내가 노 작가님과 한번쯤 해보고 싶은, 비주얼적인 성향이 ‘우리들의 블루스’였던 것 같다. 그 작품을 하면서 쾌감을 느꼈다. 나는 작가주의 감독은 아니다. 앞으로도 변화가 있을 수 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