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서현은 구단의 방침대로 따라갈 것이라고 하면서도, 은근히 마무리 보직에 욕심을 냈다. 상황도 그렇게 흘러갔다. 한화는 한 해 앞서 입단한 문동주의 등장, 2024년 시즌을 앞두고 KBO리그로 돌아온 류현진의 화려한 복귀, 그리고 2025년 시즌을 앞두고 4년 총액 78억 원의 프리에이전트(FA) 계약을 한 엄상백의 영입으로 선발 로테이션 자리를 하나하나씩 채워갔다. 구단도 김서현을 장기적인 마무리 후보로 놓고 전략을 구성해 나갔다.
그런 김서현은 의도치 않게 생각보다 일찍 팀의 마무리로 올라설 기회를 얻었다. 발단은 개막 마무리였던 주현상의 부진이었다. 2023년 팀의 핵심 셋업맨으로 활약한 주현상은 2024년 시즌 초반 마무리로 승격해 65경기에서 71⅓이닝을 던지며 8승4패23세이브2홀드 평균자책점 2.65로 활약했다. 리그에서 가장 과소평가된 마무리 투수였다. 올해도 개막 마무리였다. 하지만 시즌 첫 3경기에서 평균자책점 20.25로 부진했다.
김경문 한화 감독과 코칭스태프는 kt와 개막 시리즈 이후 마무리를 교체하기로 결정했다. 일단 팀 내 불펜에서 가장 좋은 구위를 가진 김서현에게 마무리를 맡기기로 했다. 김경문 감독은 장기적인 구상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결국 언젠가는 김서현이 마무리를 해야 하는 팀이었고, 그렇다면 이번 기회에 그 가능성을 타진해 보겠다는 뜻이다. 김서현이 이 고비를 이겨낸다면 팀의 마무리로 고정될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첫 단추는 잘 끼웠다. 마무리로 전향한 뒤 세 경기에서 아직 실점이 없다. 27일 잠실 LG전에서는 뒤지고 있는 상황에서 ⅓이닝 무실점, 28일 대전 한화전에서는 세이브 상황은 아니지만 등판해 1이닝 무실점으로 팀 승리를 지켰다. 그리고 29일 대전 한화전에서 처음으로 세이브 상황에 나서 1이닝 동안 볼넷 하나를 내주기는 했으나 실점 없이 막고 세이브를 따냈다. 김서현의 개인 두 번째 세이브지만, 마무리 보직을 맡은 이후로는 첫 세이브였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불펜 구상의 핵심인 마무리가 자주 바뀌어서 좋을 게 없다. 김서현이 이 잔혹사를 끊어낼 수 있을지도 관심사다. 구위는 충분하다. 관건은 제구다. 김서현의 피안타율은 개인 통산 0.230, 올해는 0.133에 불과하다. 하지만 9이닝당 볼넷 개수가 지난해 7.51개, 올해도 4.15개로 많은 편이다. 1~2점 리드 상황에서 선두 타자 볼넷이 얼마나 치명적인 9회를 야기하는지는 모두가 알고 있다. 김서현이 이 과제까지 잘 극복한다면, 국가대표팀 마무리의 가능성도 내비칠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