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인터풋볼] 김진혁 기자 = 유럽축구연맹(UEFA) 알렉산데르 체페린 회장이 월드컵 참가국을 64개로 확대하는 방안에 반대 입장을 던졌다.
영국 매체 '가디언'은 3일(한국시간) "UEFA 회장 체페린은 2030 국제축구연맹(FIFA) 월드컵을 64개국으로 확대하는 제안을 비난했다. 그는 이를 나쁜 생각이라고 말했다"라고 보도했다.
2030 FIFA 월드컵은 이미 스페인, 포르투갈, 모로코가 공동 개최국으로 선정되었으며, 우루과이, 아르헨티나, 파라과이가 월드컵 창설 100주년 기념 경기 개최국으로 지정돼 개막전을 자국에서 치른다.
대회 창설 100주년을 기념해 FIFA는 월드컵 참가국으로 64개국으로 늘리는 방안을 검토하기 시작해 논란을 일으켰다. 이그나시오 알론소 우루과이 협회장이 지난달 FIFA 평의회를 통해 안건을 제시했고 관련 보도가 잇따랐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에 UEFA 회장이 반대 입장을 밝혔다. 체페린 회장은 "64개국 확대는 월드컵과 예선을 고려할 때 좋은 생각이 아니다. FIFA 평의회에서 제안이 나오기 전 각 대륙 연맹은 아무도 몰랐던 정보다. 분명 이상하다"라고 지적했다.
경기력 수준 문제도 있다. 참가국이 늘어날 시 자연스레 평소에 참가가 어려웠던 축구 약체 국가의 참가가 유력해진다. 당연히 한 경기 한 경기에 대한 관심도, 집중도, 수준 문제 등 여러 측면에서 우려점이 보이는 것이 분명하다.
여기에 음모론도 존재한다. 중국 등 기존 시스템 아래에서 월드컵 본선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나라를 포함시키기 위한 결정이라는 따가운 눈초리가 계속되고 있다. 실제로 해당 소식이 전해진 후 FIFA가 남다른 자본력을 갖춘 중국 등을 월드컵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선택이라는 비판이 잇따랐다.
중국은 '축구 굴기'를 선언하며 월드컵 진출을 위해 갖가지 노력을 다하고 있다. 2002년 당시 한국과 일본이 개최국 자격으로 예선에 불참하며 중국이 간접 이익을 봤고 이때 월드컵 본선 무대를 밟은 것이 유일한 참가다.
Copyright ⓒ 인터풋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