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개 숙인 김연경. 한국배구연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년 전과는 다르다."
리버스 스윕패로 우승을 놓친 2022-2023시즌의 악몽을 되풀이하지 않겠다는 마르첼로 아본단자 흥국생명 감독의 각오다.
2024-2025시즌 정규리그를 1위로 마쳐 챔피언 결정전(5전 3선승제)에 직행한 흥국생명은 무서운 기세로 우승을 향해 달려갔다.
4일 대전 충무체육관에서 열린 정관장과의 도드람 2024-2025 V-리그 여자부 챔피언 결정 3차전.
오랜 숙원인 우승의 꿈을 이룰 절호의 기회이기도 했다.
2005-2006시즌 신인 드래프트 전체 1순위로 흥국생명에 입단한 김연경은 세 차례 우승(2005-2006, 2006-2007, 2008-2009시즌)을 경험한 뒤 해외 무대로 진출했다.
일본, 튀르키예, 중국 리그 등을 거쳐 국내로 복귀한 뒤에는 유독 우승과 인연이 없었고, 3차례나 준우승에 그쳤다.
김연경. 한국배구연맹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경기 전 아본단자 감독도 2년 전 악몽을 의식한 듯 "반복적으로 이야기하지만 2년 전 팀은 지금과 다르다"면서 "김연경 외에 대부분 바뀌었기 때문에 지금 쓰는 이야기는 새로운 이야기다"라고 강조했다.
실제로 2년 사이 흥국생명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외국인 선수 투트쿠와 피치를 비롯해 김수지, 신연경, 이고은 등 현재 주축 선수들은 2년 전 다른 팀에서 뛰었고, 정윤주 역시 당시 주전이 아니었다.
특히 1, 2세트를 먼저 따내며 우승까지 단 1세트만을 남겨둔 상황에서 무너졌다.
2011-2012시즌 이후 13년 만에 안방에서 펼쳐진 챔프전을 단 한 경기로 끝낼 수 없다는 각오로 맞선 정관장의 기세는 만만치 않았다.
염혜선, 노란 등 주축 선수들이 부상 투혼을 발휘했고, 메가(41점)와 부키리치(30점) 쌍포는 무려 71점을 합작하며 펄펄 날았다.
악몽이 재현되지 않으려면 4차전에서 끝내야 한다. 아본단자 감독이 말한 2년 전과 다른 모습을 보여줄 수 있을지 지켜볼 일이다. 또 김연경이 선수 생활의 마지막 페이지를 우승으로 장식할 수 있을지 관심을 모은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