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위로 올라가 KIA와 맞붙은 팀은 KIA를 추월하기는커녕 시리즈가 끝나면 오히려 경기 차가 더 벌어진 한숨 나오는 현실에 마주해야 했다. 실제 지난해 정규시즌 2·3위 팀인 삼성과 LG는 KIA와 상대 전적에서 굴욕적 수치를 남기며 결국 추월의 동력을 상실했다. 정규시즌 2위인 삼성은 지난해 KIA를 상대로 4승12패에 그쳤다. 3위인 LG는 3승13패였다. 오히려 리그 하위권 팀들보다 KIA에 약했다. KIA가 정규시즌 우승까지 내달린 결정적인 동력이었다.
올해 정규시즌 우승을 노리는 삼성과 LG는 이 채무 관계를 청산해야 했다. 그리고 그 가능성을 내비쳤다. 삼성은 KIA와 첫 3연전에서 1승1패를 기록했다. LG도 KIA와 첫 3연전에서 2승을 따내며 지난해 전적과는 다른 출발을 알렸다. 물론 김도영 등 부상자들이 많은 KIA의 전력이 정상적이지 않다는 것은 참고해야겠지만, 올해는 다른 점이 보인다는 평가다.
박진만 삼성 감독은 지난해 불펜의 힘 싸움에서 KIA를 당해내지 못했다고 진단한다. 실제 삼성은 지난해 KIA를 상대로 유독 역전패가 잦았다. 경기 초반에 앞서 나가다가 중반 이후 불펜이 KIA 타자들의 힘을 이겨내지 못하고 와르륵 무너졌다. 1패 이상의 충격이었다. 삼성 불펜은 지난해 베테랑 위주의 구성이었다. 경험과 경기 운영 능력은 좋지만, 아무래도 구위로 상대를 이겨내는 유형들은 아니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그런데 이 수치는 KIA를 상대로는 뚝 떨어졌다. 지난해 KIA 상대 팀 타율은 0.259, KIA 상대 OPS는 0.696에 불과했다. 김현수(OPS 0.639), 문보경(.738), 문성주(.551), 박해민(.536), 신민재(.577), 홍창기(.697) 등 오지환을 제외한 주축 좌타자들이 KIA를 상대로 유독 힘을 못 쓴 것도 이와 연관이 있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