흥국생명은 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열린 정관장과의 도드람 2024-25 V-리그 챔피언결정 5차전 홈경기에서 풀세트 접전 끝에 세트 스코어 3-2(26-24 26-24 24-26 23-25 15-13) 승리를 거뒀다.
앞서 정규리그 1위를 차지한 흥국생명은 챔피언결정전까지 트로피를 들어 올리며 ‘통합우승’의 영광을 안았다. 구단 통산 5번째 챔피언결정전 우승이자 2018-19시즌 이후 6년 만에 V-리그 최정상 자리를 탈환했다.
사진(인천)=김영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진(인천)=김영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번 시즌을 끝으로 은퇴를 선언한 김연경은 자신의 ‘라스트 댄스’를 ‘우승’으로 장식했다. 개인 통산 V-리그 4번째 우승, 지난 2005, 2006-07, 2008-09시즌 이후 16년 만에 국내 무대 정상을 차지했다. 그동안 국내 복귀 후 정상에 오르고자 분투했지만, 때마다 준우승에 머물러야 했다. 2020-21시즌 GS칼텍스, 2022년 다시 돌아와 2022-23시즌 한국도로공사, 2023-24시즌 현대건설의 우승을 지켜본 뒤 세 시즌 연속 챔피언결정전에 오른 끝에 최고의 순간을 맞이했다.
흥국생명은 1, 2차전 연승 후 3, 4차전을 연패를 당했다. 5차전 혈투 끝 웃을 수 있었다. 김연경은 “오늘이 기억에 많이 남을 것 같다. 한국에 돌아와 4번의 챔피언결정전이었다. 다 다른 팀을 상대했다. 정규리그 2번 우승 후 이제야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차지했다. 이렇게 별을 달기 힘들 줄 몰랐다”라며 “3, 4차전 패배 후 문제점에 대해 고민했다. 오히려 5차전은 마음이 편했다. 홈으로 돌아오다 보니 좋은 경기력을 보여줄 것이라고 생각했다. 드라마나 영화 시나리오도 이런 식으로 만들지는 못할 것 같다”라고 자축했다.
사진(인천)=김영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진(인천)=김영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진(인천)=김영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연경의 최고 활약은 5세트 막판 디그였다. 양 팀 감독 모두 극찬할 정도. 김연경의 디그 후 투트쿠의 득점으로 흥국생명이 우승을 차지했다. 이에 대해 김연경은 “고희진 감독도 그 수비가 우승을 만들었다고 말씀해 주셨다. 감사드린다고 답했다. 정관장도 너무 좋은 경기력을 보여줬다. 스포츠는 승패가 갈린다. 누군가 이기면 다른 누군가는 패한다. 마지막 우리가 웃게 됐다. 기분이 묘했다. 정관장도 모두 고생했다”라고 전했다.
사진(인천)=김영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제 진짜 은퇴다. 김연경은 “아직 실감 나지 않는다. 내일도 대전이나 인천에서 경기를 더 해야할 것 같은 기분이다. 꿈같다. 아마 집에 가서 혼자 있고, 며칠 지나면 은퇴가 실감날 것 같다. 오늘 경기 기억이 많이 남을 것 같다”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연경은 향후 행보에 대해 “재단이 있다. 올해 많은 활동을 계획 중이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이제 쉬면서 무얼 하면 좋을까, 원하는 방향이 무얼까 고민하는 시간을 가질 것 같다”라고 말했다.
사진(인천)=김영구 기자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연경은 자신이 원하는 모습으로 은퇴한다. 그는 “제가 원하던 모습으로 마무리한다. 아직까지 잘하는데 왜 은퇴하냐는 말을 듣고 있는데, 이 모습이 제가 상상했던 모습이다. 우승컵을 들고 은퇴하는 것이다. 4년 동안 이루지 못했다. 안타깝다고 생각했는데, 이렇게 별을 하나 달고 떠난다. 정상에서 은퇴할 수 있어서 다행이다”라고 했다.
[인천=김영훈 MK스포츠 기자]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