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김연경 "별 하나 다는 게 이렇게 힘들다…내가 원했던 마지막 모습"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연경 / 사진=권광일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인천=스포츠투데이 신서영 인턴기자] 배구 여제 김연경이 자신의 마지막 우승에 대한 소감을 전했다.

흥국생명은 8일 인천 삼산체육관에서 열린 2024-2025 V리그 여자부 챔피언결정전(5판 3선승제) 5차전 정관장과의 홈 경기에서 세트 스코어 3-2(26-24 26-24 24-26 23-25 15-13)으로 이겼다.

이번 승리로 흥국생명은 시리즈 3승 2패를 기록, 정관장을 제치고 통합 우승을 차지했다. 2018-2019시즌 이후 6년 만이자 구단 역사상 5번째 챔피언 결정전 우승이다.

이는 여자부 최다 챔피언결정전 우승 기록이기도 하다. 맞대결 상대였던 정관장을 포함해 GS칼텍스, IBK기업은행이 3회 우승으로 공동 2위에 올라있다.

김연경은 챔피언결정전에서도 자신의 건재함을 과시했다. 1차전에서 16점, 2차전에서 22점을 책임지며 팀의 승리를 이끌었고, 3-4차전에서도 각각 29점, 32점을 올리며 고군분투했다. 이날도 34점을 올리는 등 챔피언결정전 5경기에서 총 133점을 기록했다.

이에 기자단 투표에서 김연경은 31표로 모든 표를 획득하며 V리그 역대 2번째 만장일치 MVP로 선정되는 명예를 얻었다. 자신의 4번째 챔프전 MVP로, 김연경은 흥국생명에서 우승을 경험한 모든 시즌에 MVP를 수상하는 기록도 세웠다.

우승 후 취재진과 만난 김연경은 먼저 "3-4차전 끝나고 나서 예전 준우승 얘기를 많이 쓰셔서 속상하긴 했다"고 웃은 뒤 "쉽지 않을 거라 생각했지만 3-4차전을 내줄 거라 생각하진 못했다. 은퇴를 앞두고 역경이 다가오는구나 싶었다. 계속해서 이겨내려고 노력했고, 선수단 화합을 위해 얘기도 많이 했다. 짧은 기간이었지만 정말 고생 많았다. 멋진 마무리를 시켜줘서 선수단에 고맙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오늘이 정말 기억에 많이 남을 것 같다. 한국에 돌아와서 4번의 챔프전을 치렀다. 정규 2번, 챔프전 1번 우승했다. 별 하나를 다는 게 이렇게 힘들구나 생각했다"며 "3차전이 끝나고 나서도 나한테 돌아오는 게 왜 이것 뿐이지 생각했다. 오히려 5차전에서 마음이 편해졌다. 홈이기 때문에 좋은 결과 보여준 것 같다. 드라마나 영화도 이런 시나리오를 쓰진 못할 거라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함께 명승부를 펼친 정관장을 두고는 "고희진 감독님이 끝나고 '연경아, 네 수비가 우승시킨 거다'라고 하시더라. 정관장도 부상도 많고 힘들었을 텐데 챔프전에서 좋은 배구를 보여준 것 같아서 정말 좋다. 너무 수고했다고 말해주고 싶다"고 칭찬했다.

김연경은 만장일치 MVP 선정에 대해서는 "양심이 있으셔서 그런가. 3차전에서 지고 나서 얼마나 재미있게 기사들을 많이 쓰셨던지"라고 웃으며 "3년 전 도로공사전도 쓰시고 '김연경 또 무너지나'로 내가 엎드려 있는 사진을 쓰시더라. 그런 거에 대한 미안함이 있어서 쓰신 분들이 투표를 해주시지 않았나 싶다"고 재치있게 답변했다.

그러면서 "사실 은퇴할 정도가 됐을 때 챔프전에서 활약을 하고, 통합 우승도 하고 또 MVP를 받을 수 있는 선수가 얼마나 될까 생각한다. 이렇게 뽑아주셔서 감사하긴 한데 좀 밉기도 하다"고 농담했다.

김연경은 올 시즌을 마지막으로 코트를 떠난다. 이에 그는 "아직 실감이 안 난다. 내일 대전으로 이동하든 인천에서 경기를 뛰든 할 것 같은 느낌이다. 며칠 지나고 나면 실감나지 않을까 싶다. 오늘이 참 많이 기억날 것 같다"고 전했다.

은퇴 후 계획이나 진로에 대해서는 "김연경 재단이 있다. 올해 많은 활동을 계획 중이다. 다른 걸 한다기보다는 좀 쉬면서 생각하는 시간을 갖는 게 좋을 것 같다"며 "오늘은 회식을 제대로 하고 싶다. 애주가인데 금주를 오래했다. 그리고 그냥 쉬고 싶다. 친구들도 만나고 여행도 다니겠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배구를 했지만 마지막까지 참 쉽지 않은 직업"이라고 말한 김연경은 "오늘 마지막 모습이 내가 원했던 모습이다. 많은 분들이 아직까지 잘하는데 왜 은퇴를 하냐고 얘기하시지만 이렇게 우승컵을 들고 내가 상상했던 은퇴의 모습이었다. 4년 동안 이뤄내질 못해서 안타까웠는데 별 하나 달고 정상에서 은퇴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스포츠투데이 신서영 인턴기자 sports@sto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스포츠투데이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