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마마무 화사, 걸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1위..2위는 레드벨벳 아이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매경닷컴 MK스포츠 김나영 기자

마마무 화사가 걸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2019년 7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를 차지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걸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을 위해 2019년 6월 19일부터 2019년 7월 20일까지 걸그룹 개인 455명의 브랜드 빅데이터 89,195,186개를 추출하여 걸그룹 개인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 행동분석을 가지고 만든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로 브랜드평판지수를 분석하였다. 지난 2019년 6월 걸그룹 개인 브랜드 빅데이터 80,903,675개와 비교하면 10.25% 증가했다.

브랜드 평판지수는 소비자들의 온라인 습관이 브랜드 소비에 큰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찾아내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만들어진 지표이다. 걸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분석을 통해 걸그룹 개인 브랜드에 대한 긍부정 평가, 미디어 관심도, 소비자들의 관심과 소통량을 측정할 수 있다. 걸그룹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브랜드 영향력을 측정한 브랜드 가치평가 분석도 포함하였다.

매일경제

마마무 화사가 걸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2019년 7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를 차지했다. 사진=천정환 기자


2019년 7월 걸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마마무 화사, 레드벨벳 아이린, 우주소녀 보나, 레드벨벳 조이, 여자친구 신비, 여자친구 소원, 블랙핑크 제니, 레드벨벳 슬기, 아이즈원 장원영, 여자친구 은하, 트와이스 사나, 여자친구 엄지, 레드벨벳 예리, 블랙핑크 지수, 레드벨벳 웬디, 아이즈원 안유진, 여자친구 예린, 여자친구 유주, (여자)아이들 소연, 있지 유나, (여자)아이들 미연, 우주소녀 선의, 트와이스 나연, (여자)아이들 우기, 트와이스 모모, 아이즈원 강혜원, 아이즈원 김민주, 베리굿 조현, 아이즈원 조유리, (여자)아이들 수진 순으로 분석되었다.

1위, 마마무 화사 브랜드는 참여지수 740,277 미디어지수 389,189 소통지수 504,339 커뮤니티지수 451,703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085,508 로 분석되었다. 지난 2019년 6월 브랜드평판지수 1,248,732 와 비교하면67.01% 상승했다.

2위, 레드벨벳 아이린 브랜드는 참여지수 433,200 미디어지수 721,030 소통지수 633,261 커뮤니티지수 250,423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037,915로 분석되었다. 지난 2019년 6월 브랜드평판지수 1,838,995와 비교하면10.82% 상승했다.

3위, 우주소녀 보나 브랜드는 참여지수 898,200 미디어지수 559,073 소통지수 274,663 커뮤니티지수 275,687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007,623 로 분석되었다. 지난 2019년 6월 브랜드평판지수 776,354와 비교하면158.60% 상승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구창환 소장은 “2019년 7월 걸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분석결과, 마마무 화사 브랜드가 1위를 기록했다. 걸그룹 개인 브랜드 카테고리를 분석해보니 지난 2019년 6월 걸그룹 개인 브랜드 빅데이터80,903,675개와 비교하면 10.25% 증가했다. 세부 분석을 보면 브랜드소비 7.51% 상승, 브랜드이슈 21.34% 상승, 브랜드소통 6.66% 상승, 브랜드확산 0.42% 상승했다”라고 평판분석했다.

이어 “2019년 7월 걸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마마무 화사 브랜드는 링크분석에서 ‘당당하다, 돋보이다, 섹시하다’가 높게 나왔고, 키워드 분석에서는 ‘공항패션, 노출, 나 혼자 산다’가 높게 분석되었다. 긍부정비율분석에서는 긍정비율 73.95%로 분석되었다”라고 브랜드 분석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국내 브랜드의 빅데이터 평판분석을 통해 브랜드 평판지수를 측정하여 발표하고 있다. 걸그룹 개인 브랜드평판 분석은 2019년 6월 19일부터 2019년 7월 20일까지 브랜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이루어졌다. mkculture@mkculture.com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