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女 최초 외국인 감독' 콜린 벨, "WC 2회 출전, 韓 감독 영광"[일문일답]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OSEN

[사진] 대한축구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OSEN=축구회관, 이승우 기자] "2회 연속 월드컵 진출 위업을 물려받아 현 대표팀을 이끄는 것은 영광이다. 3회 연속 진출을 넘어 토너먼트 라운드 진출을 노리겠다."

대한축구협회(KFA)는 22일 오후 2시 서울 종로구에 위치한 축구회관에서 콜린 벨(58) 대한민국 여자축구대표팀 취임 기자회견을 가졌다. 한국 여자대표팀 사상 최초의 외국인 감독인 벨 감독의 계약 기간은 2022 아시아축구연맹(AFC) 여자아시안컵까지 총 3년이다.

벨 감독은 영국 태생의 독일 국적자로 알려졌지만 영국 국적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최근까지는 영구 거주허가권을 받아 독일에 거주해왔다.

벨 감독은 28세 젊은 나이에 독일 분데스리가 마인츠에서 은퇴해 코블렌츠에서 일찌감치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지난 2011년 SC 07 바드 노이에나르 감독을 시작으로 올해 6월까지 약 8년 간 여자축구팀을 맡았다.

2013년 독일 여자 분데스리가 FFC 프랑크푸르트 감독으로 취임해 2014년 독일컵 우승, 2015년 UEFA 여자 챔피언스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2015-16시즌에는 노르웨이 명문 아발드네스 감독으로 부임했으며 2017년부터 올해 6월까지 아일랜드 여자 국가대표팀을 감독을 역임했다. 최근에는 잉글랜드 챔피언십 허더스필드 수석코치로 활동했다.

벨 감독은 지난 21일 입국해 공식 계약 절차를 마무리했다. 벨 감독의 A매치 데뷔전은 오는 12월 10일 부산서 개최되는 2019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챔피언십 개막전이 될 전망이다.

김판곤 국가대표전력강화위원장은 벨 감독과 동행해 "현대축구에 대한 높은 이해와 대한축구협회와 철학이 잘 맞는다"라며 "한국 여자축구를 몇 단계 더 발전시킬 수 있는 적임자"라며 선임 이유를 밝혔다.

OSEN

[사진] 대한축구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날 공식 기자회견에서 벨 감독은 한국어로 "안녕하세요. 저는 콜린 벨입니다. 저는 잉글랜드에서 왔습니다. 대한민국 여자축구대표팀 첫 외국인 감독이 되어서 영광입니다"라며 첫 인사를 건넸다. 이어 "한국 여자대표팀 감독직을 맡을 수 있게 되어 자랑스럽게 생각한다"라는 소감을 덧붙였다.

벨 감독은 "미국과 친선 2연전을 관전했는데, 선수들이 뛰는 것을 보고 한국 감독을 맡는 것에 대해 기대감이 커졌다"라며 감독직 수락 배경을 밝혔다. 이날 기자회견장을 찾은 많은 취재진을 보고 벨 감독은 "한국에서 여자 축구가 얼마나 많은지 실감했다. 앞으로 팀을 더욱 성공적으로 이끌도록 하겠다"라며 각오를 전했다.

이어 벨 감독은 "전임 감독의 2회 연속 월드컵 진출 위업을 물려받아 현 대표팀을 이끄는 것은 영광"이라며 "당연히 3회 연속 진출을 넘어 토너먼트 라운드 진출을 노리고 매경기 이길 수 있도록 하겠다"는 기대감을 드러냈다.

벨 감독은 "선수 중심 문화를 만들 것"이라며 "편안하고 안전한 분위기는 물론 선의의 경쟁을 통해 발전할 수 있는 문화를 만들 것"이라며 팀 운영 방안을 설명했다. 또한 "한국과 유럽의 문화적 특징을 잘 섞어서 분위기를 조성하고 매순간 선수들이 경기에 집중할 수 있게 할 것"이라며 선수 중심의 대표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벨 감독은 "지금껏 원칙적, 전술적인 부분에 신경써서 운영했다. 수비조직을 컴팩트하게 공격시 전환을 통해 기회를 잡을 것"이라며 "선수들이 능동적으로 통제하고 주도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팀을 만들겠다"라고 덧붙였다.

OSEN

[사진] 대한축구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벨 여자축구대표팀 감독과 일문일답.

- 외국인 감독 부임시 코치진에 관심이 클 것이다.

▲ 수석코치는 후보군을 받아서 고려 중이다. 한국인 스태프들은 기존과 동일하게 갈 것이다. 선수들과 스태프간 관계가 잘 형성됐고, 미국에서 코치진의 능력을 잘 파악했다. 무엇보다 코치진이 누가 선임되냐보다 감독인 내가 어떻게 변화하는지가 중요할 것이다.

- 한국의 어느 부분이 강점이라고 파악했나.

▲ 공을 소유할 때 자신감이 있었고, 미국과 2차전에서 더 좋은 경기력을 확인했다. 압박을 강하게 하고 공격적인 플레이를 했다. 미국을 상대로 90분 동안 경기를 지배하는 것은 힘들지만 상당 시간 경기를 지배했다. 2차전에선 한국이 더 나은 팀이란 인상을 받았다.

- 약점이라 생각한 부분은.

▲ 부정적인 부분에 대해 크게 언급하지 않을 것이지만 세트피스는 약점이다. 피지컬적인 부분에서 약점이 있겠지만 세트피스를 내주는 것을 최소화하는 방법이 있다. 자리를 미리 잡거나 상대팀을 우리 골문에서 최대한 멀리 있게하는 방안도 있다. 프랑스와 월드컵, 미국과 친선경기에서도 그런 약점이 있었는데 잘 보완하겠다.

- 임기 내에 중요한 대회의 목표는.

▲ 가장 가까이에 있는 동아시안컵은 흥미롭고 상대가 강한 대회라 도전적인 과제로 받아들인다. 최고의 전력으로 참가하고 싶지만 FIFA A매치 주간이 아니라 잉글랜드에서 뛰는 선수들을 차출하지 못할 수 있다. 국내서 뛰는 선수들을 확인할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한다. 그 후엔 올림픽 출전이 최우선 목표다. 한 단계 한 단계 준비하듯이 올림픽 출전 이후에는 월드컵 출전을 목표로 한다.

- 위르겐 클롭 리버풀 감독과 함께한 이력이 있다.

▲ 클롭과 25년 정도 알고 지냈다. 2001년 마인츠 U-23팀 코치였고 그는 1군 코치였는데 매년 2명 이상을 1군 팀으로 보냈다. 클롭과는 같은 축구 철학을 공유하고 있다. 경기를 이겨야하고 선수에 대해 이해해야 하며 선수-코치진 간의 이해가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선수들의 역량, 전술보다 마음을 얻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면에서 클롭이 세계 최고다. 그 후에 선수 능력, 전술적인 부분을 고려해야한다. 높은 템포, 에너지를 중시하는 축구라는 점에서 클롭과 비슷하다고 생각한다.

- 남자 축구과 여자 축구의 차이는.

▲ 현실적으로 체격적인 부분에서 차이가 난다. 여자 선수들은 감정이 풍부하고 더욱 헌신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면에서 감독으로서 보람이 있다. 스펀지 같이 소통을 하고 다양한 질문을 던진다. 반면 남자 축구는 선수들이 당연히 감독이 지시를 이행할 것이라는 기대가 있다. 이런 부분을 잘 활용해서 이기는 팀을 만들고 한국의 어린 선수들이 꿈을 꿀 수 있게 하며 여자 축구에 대한 시선을 바꾸는 것이 목표다. 많은 이들이 남자축구과 여자축구를 비교하고 있는 오류를 범한다. 여자 경기는 체격적으로 작고 느리지만 그만의 매력을 봐줬으면 좋겠다.

- 빡빡한 일정을 소화해야 한다.

▲ WK리그 잔여일정을 관람하며 선수들을 관찰할 것이다. WK리그 팀들의 감독, 코치진과 따로 만나고 싶다. FIFA가 허락한 소집기간은 10일 남짓인데 클럽 코치진과 이야기해 선수들의 어떻게 발전시키고 대표팀에 들어와 어떤 역할을 해야하는지 신경쓸 것이다.

- 동아시안컵 상대들 전력은 어떻게 파악했나.

▲ 일본과 중국이란 강팀을 상대하는 것은 흥미로운 도전이다. 코칭스태프와 만나 치밀하게 준비할 것이다.

- 북한과 경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준비할 생각인가.

▲ 정치적인 문제에 대해 언급하고 싶지 않다. 다만 북한은 그전 한 나라일 뿐 축구에서 특별히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을 것이다. 아일랜드 대표팀 재임 시절에 북아일랜드와 경기를 했었다. 당시에도 북한 문제처럼 관심을 받았지만 당시엔 승리를 거뒀다.

- 아시아팀을 선택하는 것에 두려움은 없었나.

▲ 한국팀을 선택한 이유는 팀과 선수들의 잠재력을 확인했고, 그를 통해 분명한 성과를 낼 수 잇을 것이라 믿었다. 김판곤 위원장과 대화에서 여자축구 발전에 노력한다는 인상을 받았다.

- 선수 선발의 기준은.

▲ 16세의 선수든 36세든 실력이 출중하다면 어떤 선수든 뽑을 것이다. 선수 소집 때 팀의 정체성에 대해 대화를 할 것이다. 교과서적인 부분이 아니라 경기를 바꿀 수 있는 특별한 부분을 볼 것이다.

/raul1649@osen.co.kr
OSEN

[사진] 대한축구협회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