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8 (토)

2032 남북 공동올림픽 추진 ‘시동’…평화와 경제 두 바퀴로 가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창금 기자의 무회전 킥]

한반도 평화는 미래가치

긴장 완화 전세계에 전파

경제적 부수효과 기대 커

올림픽엔 실제 돈 많이 들어

운영과 시설비 총 5조5천억원

도로 등 SOC비용은 단기 관점보다

‘지역 균형발전’ 투자로 봐야

남북 공동개최 의미 적잖아

IOC도 매력적인 흥행 요소


한겨레

문재인 대통령이 2019년 9월 미국 뉴욕 유엔본부 회담장에서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을 만나 인사를 나누고 있다.뉴욕/청와대사진기자단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032 남북 공동올림픽 유치사업이 국무회의 의결로 탄력을 받게 됐다. 정부가 대외적으로 국가 신뢰를 걸고 개최를 약속한 셈이다. 2022년과 2025년 사이에 예정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결정으로 서울과 평양이 개최도시로 선정된다면 한반도에서 열리는 세번째 올림픽이 된다.

국민의 가장 큰 관심은 아무래도 개최 비용 등 돈과 관련된 문제다. 과거엔 올림픽 개최지 선정만으로 국가적 성공이라고 추켜세웠지만, 2010년대 들어 상황이 달라졌다. 대구세계육상챔피언십, 포뮬러원 자동차경주, 인천아시안게임 등의 적자가 이슈가 되면서 경제성이 중요한 항목이 됐다.

2032 남북 공동올림픽 남쪽 개최지로 선정된 서울시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대회 비용의 윤곽이 나온다.

먼저 남북 양쪽의 대회조직위원회 운영·경기장 시설비용은 총 5조5804억원으로 추산된다. 올림픽 대회 운영에 들어가는 비용은 남한(2조3천억원)과 북한(9400억원)을 합쳐 3조2천여억원이다. 경기장 개보수 비용은 남한(1조5700억원)과 북한(7850억원)에 차이가 있다. 대회조직위원회는 스폰서 계약, 아이오시 지원금, 입장권 판매, 상품화 사업 등으로 자체 수익을 발생시키는데, 2018 평창겨울올림픽 조직위원회는 전체 운영비용(2조4400억원)보다 많은 수입으로 최종적으로 450억~700억원 안팎의 흑자를 기록했다.

한겨레

경기장 등 시설물 투자의 경우 사후 운영·관리 비용이 누적돼 지자체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요즘은 신설보다는 개·보수해서 사용하는 쪽으로 바뀌고 있다. 2015년 광주유니버시아드, 2019년 광주세계수영챔피언십의 경제 대회 사례가 있다. 평창겨울올림픽 시설물들은 지역 이기주의로 인한 과잉투자로 여전히 사후활용에 애를 먹고 있지만, 아이오시의 전폭적인 지원이 이뤄지는 2024 겨울청소년올림픽 개최지로 강원도가 최근 선정되면서 시설물 활용의 계기를 만들었다.

가장 큰 비용은 사회간접자본 시설에서 나온다. 서울-평양간 왕복 4차전 고속도로 220㎞나 같은 거리의 고속철을 건설하는 등의 도로·철도 사업은 10조~30조원 가량이 들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 부분은 비용보다는 투자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는 게 현실적이다. 평창겨울올림픽의 경우 노태우 정부 공약사업인 서울~강릉간 고속철 건설 등 사회간접시설 투자로 10조원 안팎이 들어가 말이 많았지만, 지역 균형발전이라는 시야에서 보면 긍정적 측면이 있다. 재원의 마련은 북쪽 당국이 알아서 할 일이지만, 해외직접투자 유치 등 다양한 방식이 있다. 국내 기업이나 자본 입장에서도 도로와 철도 등이 북한을 통과해 유라시아 대륙으로 연결된다면 수백배 이상의 경제효과를 거둘 수 있다. 선수단이 서울이나 평양에 도착한 뒤 항공편으로 이동하는 방식을 정교화하면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스포츠는 곧 정치라는 말이 있다. 하지만 메가 스포츠 이벤트의 부산물이 긍정적 효과를 불러온 예도 있다. 가령 1988년 서울올림픽의 경우 한국의 국가 브랜드를 크게 확장했고, 올림픽공원과 잠실 경기장 등의 유산은 거대한 시민 휴식·레저 공간으로 서울 도심의 ‘허파’로 기능하고 있다. 서울시 쪽은 “2032년 남북 공동올림픽이 북한의 개방과 한반도 긴장 완화, 양국의 경제 발전 계기 등으로 500조~3400조원으로 추정되는 통일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다. 장기 시야로 투입과 산출을 따진다면 단기적 비용의 시각과는 다른 결론이 나온다.

문화체육관광부의 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2032 남북 공동올림픽은 경제와 안보, 미래가치 측면에서 충분히 시도해 볼 수 있는 사업이다. 올림픽 개최지 확정에 애를 먹는 아이오시도 2032 남북 공동올림픽이 여름올림픽 최초의 분산 개최 이정표가 되기를 바라고 있다.

김창금 선임기자 kimck@hani.co.kr

▶더불어 행복한 세상을 만드는 언론, 한겨레 구독하세요!
▶코로나19 기사 보기▶전세 대란 기사 보기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