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스포츠계 사건·사고 소식

S존 판정 논란 심판진 3일간 어떤 판정 내렸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한화와 SK의 개막 시리즈 1차전 투구 분포도. 스트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화 이용규가 스트라이크존 일관성 문제에 대해 어려움을 호소한 뒤 프로야구에서 스트라이크존 문제가 화두로 떠올랐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해당 경기 심판진을 9일부터 퓨처스리그로 강등시키는 초강수를 뒀다.

코로나19로 어려운 상황에서 시즌이 개막한 뒤 3경기가 열렸지만 선수단과 팬들 사이에선 심판진의 스트라이크존의 일관성 문제로 인해 비판 여론이 상당하다. 같은 경기인데도 팀마다 다른 스트라이크존,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은 공보다 안쪽에 들어오고도 볼이 되는 공 등 선수들을 헷갈리게 만드는 판정이 몇 차례 내려졌다.

SK와 한화의 1차전 투구 분포도(빨간색이 볼, 노란색이 스트라이크 판정)를 살펴보면 주심의 스트라이크 존이 왼쪽으로 조금 더 넓게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은 공과 같은 높이에 던진 공이 볼 판정을 받은 경우도 드물게 있었다. 대체로 볼 판정을 받은 공에 비해 스트라이크 판정을 받은 공이 안쪽에 형성된 모습이다.
서울신문

한화와 SK의 개막 시리즈 2차전 투구 분포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2차전 투구분포도를 보면 가상의 스트라이크존보다 주심의 스트라이크존이 넓게 형성돼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같은 높이에 던진 공이 어떨 때는 볼이 됐고 어떨 때는 스트라이크가 됐다.

2차전에서 심판콜은 1차전에 비해 애매한 경우가 조금 더 많았다. 1차전은 한화의 워윅 서폴드가 완봉승을 거두며 깔끔한 투구를 선보였고 SK 역시 닉 킹엄이 7이닝 3실점으로 선방한 만큼 심판이 판정할 공이 2차전에 비해 더 적었다는 점이 다르다. 다만 같은 높이의 공이 팀에 따라 판정에 차이를 보이는 것이 몇 차례 확인되고 있다.
서울신문

한화와 SK의 개막 시리즈 3차전 투구 분포도. 스트존 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3차전의 경우는 앞선 경기에 비해 더 애매한 판정이 많았다. 같은 코스에 들어온 공이 어떨 때는 스트라이크가 됐고 어떨 때는 볼 판정을 받았다. 가상의 스트라이크존 안쪽에 들어왔음에도 볼이 된 경우가 있었다.

팀별로 다른 판정도 보인다. SK 투수진이 우측 하단에 던진 공은 예외없이 스트라이크가 됐지만 한화 투수진이 같은 코스로 던진 공 중엔 볼이 된 경우도 있다. 물론 선수의 체형 등에 따라 판정이 다르게 내려질 순 있지만 선수들은 자신의 공 뿐만 아니라 동료 선수들이 타석에 섰을 때의 공도 같이 보기 때문에 억울한 마음이 들 수 있다.

올해 코로나19로 인해 심판진도 실전 경험을 쌓을 기회가 부족한 환경이었고, 사람인 만큼 실수는 나올 수 있다. 이용규를 비롯해 각 구단 감독들도 심판이 실수할 수 있다는 것을 대체로 인정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팬들 사이에선 조금 더 수준 높은 판정에 대한 기대감이 큰 상황이다.

KBO는 “해당 경기 심판위원들의 시즌 준비가 부족하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퓨처스리그로 강등해 재교육을 진행하기로 했다”면서 “향후 심판 판정에 대해 모니터링을 더욱 강화해 판정과 관련하여 리그의 신뢰를 훼손하지 않도록 철저히 노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KBO는 “이용규의 공개적인 의견 개진은 자제와 함께 재발방지를 당부하리고 했다”고 덧붙였다.

류재민 기자 phoem@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