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드래프트 신청제 준비하는 KBO, 얼리 드래프트도 긍정기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2021 KBO 신인드래프트 현장 | KBO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서울 윤세호기자] 여러가지 문제를 해결할 묘수가 될 수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가 다가오는 2022 신인 드래프트부터 큰 폭의 변화를 단행한다. 해외파 혹은 비야구인에게만 해당됐던 드래프트 신청을 프로 입단을 계획한 모든 이들에게 적용할 계획이다. 더불어 위기에 처한 대학야구와 공존을 위해 졸업 이전에 드래프트될 수 있는 ‘얼리 드래프트’ 제도 확립도 긍정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KBO 관계자는 14일 “드래프트 신청제를 두고 구단들과 꾸준히 논의하고 있다. 아직 세부적으로 더 확인해야 하는 사안이 있어서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상반기 내로 확정할 계획이다. 5월까지만 확정하면 6월, 혹은 6월 이후로 예정된 1차 지명과 9월로 예정된 2차 드래프트 모두 무리없이 진행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KBO는 졸업을 앞둔 고교 혹은 대학 야구선수 전체를 드래프트 신청자로 간주했다. 이를테면 고교 3학년, 대학 4학년(2년제 대학의 경우 대학 2학년) 야구 선수들은 자동으로 드래프트 대상자가 됐다. 해외 리그에서 야구를 했거나 LG 한선태처럼 비야구인 출신은 KBO에서 공지한 기간에 맞춰 신청서를 제출했지만 일반적으로는 별도의 과정을 거치지 않고 프로 유니폼을 입었다.

그런데 이러한 과정에서 두 가지 문제와 마주했다. 첫 번째 문제는 메이저리그(ML)와 KBO리그 중복 지명이다. 최근에는 이러한 사례가 많이 줄었지만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몇몇 선수들은 연고지 1차 지명을 받은 뒤 ML 구단과 계약을 맺고 태평양을 건넜다. 2005년 두산의 1차 지명을 받은 뒤 텍사스와 계약한 좌투수 남윤성(현 SSG 스카우트팀 매니저)과 2000년 롯데의 1차 지명을 받았으나 시애틀과 계약한 추신수(현 SSG)가 대표적인 사례다. 최근에는 일찌감치 구단이 선수와 부모측에 해외진출 의사를 확인한 후 1차 지명을 하지만 과거에는 허무하게 1차 지명권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두 번째 문제는 최근 떠오른 학교폭력(학폭) 이슈다. 졸업반이면 자연스럽게 드래프트 대상자가 되기 때문에 구단은 드래프트 대상자의 야구 외적인 부분은 확인하기 힘들다. 지난해 NC는 큰 기대를 품고 김유성을 1차 지명했지만 지명 후 학폭 이슈가 알려지면서 지명을 포기한 바 있다. 이후 몇몇 현역 선수들도 학폭 이슈와 마주했고 선수측과 피해자를 주장하는 측이 진실여부를 가리는 법정 공방이 진행 중이다.

KBO는 드래프트 신청서에 생활기록부(생기부)를 첨부하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2월 24일 문체부와 교육부는 ‘학교운동부 폭력 근절 및 스포츠 인권보호 체계 개선방안’을 심의·의결해 프로스포츠구단, 실업팀, 대학이 선수를 선발할 때에는 학폭 이력을 확인해 선발을 제한할 수 있도록 했다. 드래프트 신청서에 생기부를 첨부하면 학폭 이슈와 마주할 가능성은 크게 낮아진다.

더불어 KBO는 대학교 졸업 이전 선수들도 드래프트 참가를 허용하는 ‘얼리 드래프트’ 제도도 신청제와 함께 실행한다. 선수와 구단이 각각 대학진학, 혹은 대학졸업자를 기피하는 상황에서 생존위기에 처한 대학야구를 살리기 위해서는 얼리 드래프트를 허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힘을 얻고 있다. 대학야구연맹 또한 얼리 드래프트 제도에 찬성하는 입장으로 알려졌다.

얼리 드래프트가 정착될 경우 대학선수들은 2학년까지만 학업을 이수해도 드래프트를 신청하고 프로 유니폼을 입는다. 미국 대학 선수들이 졸업 여부와 관계없이 프로에 진출하는 것처럼 한국 선수들도 2년 혹은 3년 동안 대학에서 기량을 향상시킨 후 프로에 입단하는 환경이 만들어질 수 있다.
bng7@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