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세계인의 스포츠 축제 '올림픽'

막오르는 '베이징 동계올림픽'…눈여겨볼 숫자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류원혜 기자] [베이징2022]

머니투데이

2022 베이징 동계 올림픽 개막을 하루 앞두고 중국 베이징 올림픽 타워가 화려한 불빛을 밝히고 있다./사진=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세계인의 축제가 시작된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4일 오후 9시(한국시간) 중국 베이징 국립경기장에서 막을 올린다. 대회는 오는 20일까지 17일간 이어진다. 전 세계 2900여 선수들이 금메달 109개를 놓고 열전을 펼치는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숫자로 풀어봤다.

0= 외국에서 오는 관람객 수.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중국 본토 거주자 중 미리 정한 초청 대상자들로 관람객이 제한된다. 경기장 수용 규모의 33∼50%를 채우는 것이 국제올림픽위원회(IOC) 목표다. 지난해 도쿄 하계올림픽 때는 무관중이었다.

1= 여자부 경기가 열리지 않는 종목의 수. 크로스컨트리와 스키점프가 결합한 노르딕 복합은 남자부 경기만 열린다.

7= 평창 동계올림픽 때는 없던 신설 종목. △여자 1인승 봅슬레이 △프리스타일 스키 빅에어(남녀부) △프리스타일 혼성 에어리얼 △스키점프 혼성 단체 △스노보드 크로스 혼성 단체 △쇼트트랙 혼성 계주 등.

13= 경기장의 수. 이 중 5곳은 2008 베이징 하계올림픽 때도 사용된 장소다.

32= 동성애와 양성애, 성전환 등 자신이 성소수자라 밝히고 출전하는 선수의 수.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때는 15명이었다. 이번 대회에는 '제3의 성'(Non-Binary)이라는 사실을 공개한 선수도 동계올림픽 최초로 출전한다.

55= 스키 종목에 걸린 메달 수. 전체 종목 중 가장 많다. 한국이 강세를 보이는 빙상(쇼트트랙, 스피드스케이팅, 피겨)에는 28개가 걸려있다.

350= 베이징과 장자커우(썰매와 스키 종목 개최지)를 잇는 고속철도는 최고 시속 350㎞에 이른다.

1000= 대회 지원에 투입된 수소전기차의 수. 올림픽 사상 최대 규모다.

1140= 베이징 내 경기장에 배치된 의료진 수. 구급차는 74대가 대기 중이다.

2900= 출전하는 선수의 수. 대회 기간 도핑 검사를 위해 수집될 혈액과 소변 샘플의 수이기도 하다.

6만3548= 지난달 31일까지 베이징 올림픽 폐쇄 루프 안에서 진행된 코로나19 검사 횟수.

류원혜 기자 hoopooh1@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