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NBA 미국 프로 농구

김승기 매직, NBA 최악 1순위 베넷은 설린저가 될 수 있을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스포츠서울

KGC 시절 우승을 이끈 김승기(오른쪽) 감독과 제러드 설린저. 사진 | KBL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서울 | 고양=이웅희기자] KBL 새 10구단 소노와 초대 사령탑 김승기 감독이 미프로농구(NBA) 신인드래프트 1순위 출신 앤서니 베넷(203cm)을 데려온다. 베넷은 KBL 무대를 호령하며 부활한 제러드 설린저가 될 수 있을까.

베넷의 한국행 소식만으로 떠들썩했다. 베넷은 캐나다 출신 최초로 NBA 신인드래프트 전체 1순위 지명을 받았다. 하지만 베넷은 NBA에서 제대로 자리를 잡지 못했다. 최악의 1순위 지명에 베넷의 이름이 빠지지 않았다. 베넷은 NBA에서 뛴 4시즌 동안 151경기를 뛰며 경기당 평균 5점, 3.4리바운드를 기록했다. 이후 튀르키예, 이스라엘, 대만 등 해외리그에서 뛰었다.

이제 베넷은 한국 무대를 밟는다. 지난 시즌에는 대만 리그에서 17경기를 뛰며 경기당 평균 22.6득점, 12.2리바운드를 기록했다. 어느 정도 몰아치는 득점력을 보여줬다. 김 감독도 베넷의 폭발력을 눈여겨봤다.

소노가 베넷을 영입할 수 있었던 이유는 이미 1순위 재로드 존스를 영입했기 때문이다. 존스는 내·외곽을 넘나들며 득점을 해줄 수 있는 스코어러다. 지난 시즌 데이원 시절의 디드릭 로슨과 스타일이 비슷한 편이다. 팀 적응과 기존 국내 선수들과의 호흡도 나쁘지 않을 전망이다. 존스가 ‘메인 용병’으로 뛴다면, 베넷은 10~20분 정도를 뛰며 적응기를 가질 수 있다.

스포츠서울

KBL에서 재기에 성공한 설린저. 사진 | KBL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츠서울

앤서니 베넷. 사진 | 소노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베넷이 제대로 적응하며 자신감까지 끌어 올리면, ‘제 2의 설린저’가 될 수도 있다. 김 감독은 KGC인삼공사를 이끌던 2021~2022시즌 대체 외국인 선수로 설린저를 영입해 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설린저는 NBA 주요 전력으로 뛰던 선수이면서도 허리 부상 이슈 속에 외면받았지만, 김 감독은 과감히 그를 영입해 ‘타짜’로 만들었다. 설린저를 앞세워 KGC인삼공사는 플레이오프 전승 우승 신화도 작성했다. 갈 곳이 마땅치 않았던 설린저는 KBL에서 재기에 성공, 중국에서 선수생활을 이어가고 있다.

김 감독은 “예전에 설린저를 데려올 때 주위에서 걱정하는 분들이 많았다. 내게도 모험이었다”면서 “이번에도 베넷을 어떻게 살릴 수 있을지 시도는 해보고 싶었다. 내가 어떻게 해줘야 하는지 모험을 해보고 싶다”고 말했다.

‘김승기 매직’은 이제 베넷을 향하고 있다. iaspire@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