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스포츠계 사건·사고 소식

기계는 “스트라이크” 심판은 “볼”… 프로야구 심판진 오심 은폐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재학 투구 ‘S존’ 통과 판정 놓고

4심 “볼로 말해야” 판정 조작 논의

KBO, 해당 심판진 3人 직무 배제

“ABS 만족” vs “불만” 목소리 팽팽

주심의 실수를 기계에 떠넘기려는 시도가 적발돼 올 시즌 프로야구에 도입된 자동볼판정시스템(ABS) 논란이 다시 가열되고 있다. 공정한 판정을 위해 도입된 제도지만 경기장마다 존이 다르다는 주장이 나오고, 타자의 신장에 따라 판정이 바뀐다는 건 야구에 맞지 않는다는 반발도 거세다. 하지만 실수는 심판이 할 뿐 ABS는 인간의 눈보다 정확하게 볼카운트를 판단하고 있고, 이 과정마저 일일이 확인할 수 있는 만큼 신뢰도와 만족도가 높다는 평가다.

지난 14일 대구 삼성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삼성과 NC 경기에서 심판진이 볼카운트 판정 조작을 시도하는 일이 벌어졌다. 이날 NC 이재학이 삼성 김지찬에게 던진 2구가 스트라이크 존 한복판에 꽂혔지만, 주심은 볼을 선언했다. 이재학의 2구가 스트라이크존을 통과한 건 각 구단 더그아웃에 설치된 태블릿 단말기에서도 고스란히 확인됐다. 단 ABS와 태블릿 사이에 시차가 있기 때문에 강인권 NC 감독이 항의한 건 이재학이 5구를 던진 뒤였다.

세계일보

심판들이 14일 대구 라이온즈파크에서 열린 삼성과 NC의 경기에서 ABS와 판정에 대해 대화를 나누고 있다. 삼성라이온즈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심판진은 오심을 인정하지 않았다. 강 감독 항의 후 심판들은 논의 과정에서 “볼로 인식했다고 말해야 우리가 산다”며 은폐를 시도한 것이 TV중계를 통해 그대로 전해졌다. ABS는 3루심도 인이어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주심이 판정을 놓쳤다면 확인 절차를 밟으면 된다. 하지만 이 과정이 생략된 데다가 책임을 기계에 돌리려는 모습을 보여 논란을 키웠다. 만약 오심에 대한 책임을 기계 탓으로 돌렸을 경우 KBO는 막대한 비용을 투입해 원인 분석에 나서야 했다. KBO는 허구연 총재 주재로 긴급회의를 열고 논란을 일으킨 이민호, 문승훈, 추평호 심판을 직무 배제하고 인사위원회에 회부하기로 결정했다. 또 판정과 확인의 시차 문제 해결을 위해 주심, 3루심과 동일한 시점에 판정을 확인할 수 있도록 양 팀 더그아웃에 음성수신기를 배치할 방침이다.

이번 일을 계기로 ABS에 대한 불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삼성 원태인은 “ABS 도입 후 스트라이크 존이 위아래로 움직이고 있다”며 “같은 공을 던져도 다른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야구에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ABS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다. 한 구단 관계자는 “ABS 도입 이후 모두가 수긍할 수 있는 판단이 내려지고 있다”며 “은폐 시도 역시 경기를 지켜본 모든 사람이 알 수 있을 만큼 ABS가 투명하다는 얘기”라고 강조했다.

정필재 기자 rush@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