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배구 여제의 ‘뼈있는 제언’… “유소년~국대 육성책 필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김연경, 은퇴선수 간담회 참석

문체부 장관에 적극 지원 건의

‘배구 여제’ 김연경(흥국생명)과 2012 런던 올림픽 4강 신화를 함께 했던 이숙자, 한유미 KBSN스포츠 해설위원, 한송이가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을 만나 여자배구와 한국 스포츠 발전에 관해 의견을 나눴다. 문체부는 20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대한배구협회·여자배구 국가대표 은퇴선수 간담회’를 열었다.

세계일보

김연경(오른쪽)이 20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대한배구협회·여자배구 국가대표 은퇴선수 간담회’에서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으로부터 꽃다발을 받고 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배구 발전’이 첫 번째 의제였지만, 토론이 진행되면서 한국 스포츠 전체로 논의가 확대됐다. 김연경은 “배구 발전을 위해서는 일단 적극적인 지원이 중요하다. 유소년부터 국가대표까지 연결되는 유기적인 육성 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이어 “아쉽게 우리 남녀배구가 2024 파리 올림픽에는 출전하지 못한다. 2028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출전을 위해선 국제 경쟁력 향상을 위해 국제대회를 자주 유치하고 경험을 쌓게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 해설위원은 ‘은퇴 이후의 삶’을 화두로 던졌다. 그는 “많은 선수가 은퇴 이후의 삶에 관해 고민한다. 선수들이 현역일 때 은퇴 이후의 삶에 관해 체계적으로 교육하는 프로그램이 만들어졌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유 장관은 “전문 무용수 지원센터가 있다. 발레 등을 했던 분들의 은퇴 이후 삶을 도와주는 곳”이라며 “체육인을 위한 지원센터의 필요성을 절감한다”고 화답했다.

유 장관은 “파리 올림픽에 출전하는 한국 구기 종목이 여자 핸드볼뿐”이라며 “학생 선수 감소, 엘리트 체육의 국제경쟁력 저하 등 기존 시스템의 한계가 근본원인이다. 올림픽 이후에 학교체육과 엘리트 체육 등 체육 정책 전반을 대대적으로 개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남정훈 기자 ch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