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8 (금)

이슈 스포츠계 사건·사고 소식

오타니 성장한 삿포로돔…‘세금 괴물’로 전락해 논란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닛폰햄 파이터즈 시절의 오타니. 닛폰햄 X캡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야구계 슈퍼스타 오타니 쇼헤이(30·LA 다저스)가 일본 프로야구 닛폰햄 파이터즈 시절 홈구장이었던 삿포로돔이 세금 먹는 괴물로 전락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일본 마이니치 신문은 21일 삿포로돔의 당기손익이 6억 5100만엔(약 56억 7000만원)에 달해 역대 최악을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2022년까지 닛폰햄의 홈구장이었던 삿포로돔은 2023년 닛폰햄이 새 구장인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로 옮기면서 사용 가치가 급격히 떨어졌고 당기순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7억 7100만엔(약 67억 2000만원)이나 감소하는 충격적인 결과가 나왔다.

적자 폭은 당초 예상치의 2배가 넘는 수준이라고 한다. 신문은 “닛폰햄의 이전 후유증으로 운영의 어려움이 부각됐다”고 전했다. 삿포로에 기부하는 2억엔을 제외해도 운영적자만 4억 5000만엔(약 39억 2000만원) 수준이다.
서울신문

삿포로돔. 위키피디아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일본 최고 인기 스포츠인 프로야구가 빠지면서 삿포로돔은 그야말로 애물단지로 전락했다. 기업 협찬도 급격히 줄었고 콘서트장으로 활용하려고 해도 지리적인 여건상 쉽지 않았다. 실제로 삿포로돔은 기존에도 일본 음악계에서 통용되는 전국 5대돔 중에도 가장 인기가 없어 많은 가수가 삿포로돔을 뺀 4대돔(도쿄돔·후쿠오카돔·교세라돔·나고야돔) 투어를 위주로 하는 실정이었다.

아키모토 카츠히로 삿포로 시장은 “생각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광고와 평일 밤경기가 없어져 수익을 올리기가 어렵다”고 토로했다. 그는 “전망이 순진했을 수도 있다”는 의견에 대해 그는 “전망이 순진했다고 말하기는 조금 그렇고 생각대로 되지 않은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가 도전에 나섰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2024년에 수익성 회복을 목표로 하겠다”고 강조했다.

오타니는 삿포로돔 시절 닛폰햄에서 투수로 42승 15패 평균자책점 2.52 탈삼진 624개, 타자로 타율 0.286 48홈런 150득점 166타점 등의 기록을 남기고 미국 프로야구로 진출했다.

그러나 오타니가 뛰던 시절에도 삿포로돔은 잔디 환경이 열악해 많은 불평이 쏟아져나왔다. 닛폰햄도 임대해서 쓰던 터라 구장 운영수익을 구단이 아닌 구장이 가져가는 구조인데다 경기가 끝나고 직접 훈련장비를 일일이 치워야 하는 등의 불편이 있었다.

구장 측의 협조가 절실했으나 삿포로의 비협조적인 태도에 닛폰햄은 결국 신축구장을 짓기로 결정하고 에스콘 필드 홋카이도로 지난해부터 경기장을 옮겼다. 배짱 영업을 하던 삿포로돔으로서는 닛폰햄의 이탈로 논란의 중심에 서게 됐다. 일본 네티즌은 “낙관적인 협상을 계속한 결과다. 경영진이 모두 사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류재민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