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3.30 (일)

이슈 뮤지컬과 오페라

이창용·조형균·박성훈·이승재, 한국 최초 뮤지컬 제작기 '더 퍼스트 그레잇 쇼' 캐스팅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엑스포츠뉴스 김현정 기자) 세종문화회관은 5월 29일부터 6월 15일까지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서울시뮤지컬단 창작뮤지컬 '더 퍼스트 그레잇 쇼'를 초연한다.

이 작품은 1960년대 한국 최초의 뮤지컬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상상력과 유머로 풀어낸 코미디 뮤지컬이다.

뮤지컬이라는 개념조차 생소했던 시대, 오합지졸 프로덕션의 좌충우돌 뮤지컬 제작기를 유쾌하게 담아낸다. 서울시뮤지컬단은 한국 최초의 뮤지컬 단체인 ‘예그린악단’의 맥을 이어온 단체로, 그 정체성과 맞닿은 작품 '더 퍼스트 그레잇 쇼'를 2025 세종시즌에서 유일한 뮤지컬로서 올린다.

서울시뮤지컬단 '더 퍼스트 그레잇 쇼'는 국가의 명령으로 북한의 공연에 맞설 웅장한 공연을 만들어내야 하는 중앙정보부 문화예술혁명분과의 유덕한 실장과 그의 실수로 연출가로 등극한 배우 지망생 김영웅을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야기다.

유명한 연출가와 동명이인이었던 김영웅은 뜻밖의 착오로 ‘어디서도 본 적 없는, 한 번도 알려진 적 없는’ 대단한 작품을 만들어야 하는 난감한 상황에 놓인다. 그는 무대 경험은 있지만 연출 경험은 전무한 상태에서 극단의 경리를 작가로 삼는다.

고위 관료이지만 존재감이 없는 유덕한 실장은 오페라 가수부터 무속인, 트로트 가수까지 전국의 예술가들을 불러 모아 대한민국 최초의 뮤지컬을 만들기 위한 무모한 도전을 시작한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더 퍼스트 그레잇 쇼'에서는 빠른 템포의 대사와 개성 강한 캐릭터 간의 충돌이 계속되는데, 이 지점에서 관객들의 웃음을 유발한다. 두 주인공이 뮤지컬을 창작하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무대 위에서는 기상천외한 상황과 재치 넘치는 유머가 이어진다.

상부의 끊임없는 지시와 검열로 대본이 거듭 수정되고 배우들은 방향을 잃은 채 즉흥적인 연기를 이어가는데, 이 예측 불가능한 돌발 상황과 극 중 인물의 대응 방식들이 강력한 코미디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이 모든 소동 속에서도 뮤지컬은 완성되어 간다. 우연한 착오로 시작된 여정이 결국 모두를 성장시키고, 한 편의 뮤지컬이 탄생하는 과정을 통해 코미디와 감동이 절묘하게 어우러지는 무대가 될 예정이다.

김덕희 서울시뮤지컬단장은 “지금의 한국 뮤지컬이 이렇게 성공적으로 자리 잡은 것은 선배님들의 많은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다”라며, “단순한 웃음을 넘어, 한국 최초의 뮤지컬을 만들기 위한 선배님들의 고민과 열정에 공감하고 함께 웃을 수 있는 작품이 될 것”이라고 '더 퍼스트 그레잇 쇼'의 창작 배경을 밝혔다.

세종문화회관 안호상 사장은 “서울시뮤지컬단은 '다시, 봄'과 '맥베스'를 성공적으로 레퍼토리화했다. 이번 작품 또한 서울시뮤지컬단의 대표 레퍼토리로 자리 잡을 것으로 믿는다”고 전했다.

뮤지컬 '더 퍼스트 그레잇 쇼'는 3월 26일 캐스팅 발표에 맞춰 4월 1일에 추가좌석을 오픈한다. 공연 개막일인 5월 29일부터 6월 1일까지 진행되는 공연에 한하여 프리뷰 할인 25%를 제공한다. 관람료는 R석 8만 원, S석 6만 원이다.

뮤지컬 '더 퍼스트 그레잇 쇼'는 뮤지컬 제작 과정을 유쾌하게 담아낸 것을 넘어, ‘뮤지컬이란 무엇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는 메타 뮤지컬이다. 작품 속 인물들은 뮤지컬의 전형적인 형식과 클리셰를 재치 있게 활용하며, 뮤지컬이라는 장르의 본질과 의미를 관객들에게 다시금 생각하게 한다.

극 중 넘버‘그게 바로 뮤지컬이니까요’는 뮤지컬이라는 형식 자체를 설명하는 장면으로, 대사와 노래를 통해 뮤지컬의 특징을 관객들에게 전달하는 동시에 이 장르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다.

연출은 “뮤지컬은 이 팍팍한 삶을 살아가게 하는 원동력”이라는 대사를 통해 뮤지컬이 가진 힘과 가치에 대해 말한다. 무대를 통해 삶을 위로하고 희망을 전하는 뮤지컬의 역할을 강조하는 부분이다.

넘버 ‘예술적으로 Rep.’에서는 “무대만 있으면 해볼 만해 우리도 기다렸던 순간 지켜야만 해”라는 가사를 통해 ‘쇼는 계속되어야 한다(The show must go on)’는 공연 예술의 본질과 지속성에 대한 깊은 메시지를 전한다.

'더 퍼스트 그레잇 쇼'는 극작가 박해림, 작곡가 최종윤, 연출가 김동연이 의기투합해 탄생한 작품이다. 2023년 창작개발을 시작으로 2024년 낭독공연을 통해 관객과 만난 뒤 수정 작업을 거쳐 2025년 본공연까지 3년간의 체계적인 과정 속에서 완성도를 높였다.

박해림 작가는 감각적인 스토리텔링으로 '모리스', '미생', '부치하난', '사랑의 불시착' 등 다양한 창작뮤지컬을 선보이며, 현재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작가 중 한 명으로 손꼽힌다.

차범석희곡상을 수상한 박해림 작가는 '더 퍼스트 그레잇 쇼'에서 1960년대 사회적·정치적 분위기가 예술의 방향을 제한하는 환경 속에서 창작의 자유와 균형을 찾기 위한 예술가들의 치열한 고민과 도전을 그려냈다.

코미디 뮤지컬로서 유머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희화화에 무게가 쏠리지 않도록 신중히 작업하는 한편, 극의 생동감을 잃지 않기 위해 적절한 균형을 유지하는 데 집중했다.

한국뮤지컬어워즈에서 작곡 부문 음악상을 수상한 최종윤 작곡가는 '마리퀴리', '미생', '곤 투모로우', '셜록홈즈' 등 다양한 작품을 선보여 왔다. 최종윤 작곡가의 손길로 1960년대의 활기찬 멜로디부터 1990년대의 감성적인 댄스 음악까지, 시대를 뛰어넘는 다채로운 음악적 풍경이 '더 퍼스트 그레잇 쇼'에 녹아든다.

김동연 연출은 '시라노', '데스노트', '일테노레', '그레이트 코멧' 등 다양한 작품을 작업했다. 한국뮤지컬어워즈 연출상을 두 차례 수상하며 국내 정상급 연출가로 자리매김했다. 그는 '더 퍼스트 그레잇 쇼'를 통해 코미디적 요소와 드라마적 깊이를 동시에 살리는 연출을 선보이며, 쇼 뮤지컬 특유의 화려한 무대 연출과 역동적인 퍼포먼스를 적극 활용해 극중극 형식의 다층적인 무대 경험을 제공할 것이다.

'스윙 데이즈_암호명A', '시데레우스', '레베카', '스토리 오브 마이 라이프' 등의 이창용이 '더 퍼스트 그레잇 쇼'에서 강한 카리스마를 지닌 원칙주의자 유덕한 실장 역을 맡았다. 점차 변화하는 인물의 서사를 섬세한 연기로 풀어낸다.

'라이카', '시라노', '하데스타운', '더데빌:파우스트' 등의 조형균은 제4회 한국뮤지컬어워즈 남우주연상을 수상했다. '더 퍼스트 그레잇 쇼'에서는 김영웅 연출 역을 맡아 유쾌한 에너지와 생동감 넘치는 캐릭터 표현으로 극의 매력을 한층 더 끌어올린다.

서울시뮤지컬단 단원 박성훈과 이승재는 극의 중심을 탄탄하게 지탱한다. 뮤지컬 '지붕 위의 바이올린'에서 매 회차 관객들을 눈물짓게 했던 박성훈이 유덕한 실장을 연기한다. 뮤지컬 '더 트라이브'에서 존재감을 선보인 이승재는 김영웅 연출 역을 맡아 자신만의 스타일로 캐릭터를 해석하며 작품에 신선한 매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기대된다.

사진= 세종문화회관

김현정 기자 khj3330@xportsnews.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엑스포츠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