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지난 주말 LG와 개막 2연전에서 모두 대패를 한 롯데는 25일 인천SSG랜더스필드에서 열린 SSG와 경기를 앞두고 선발 라인업에 손을 봤다. 아직 경기력이 100%가 아닌 일부 주전 선수들이 빠졌다. 팀의 주전 포수인 유강남(33)도 그중 하나였다. 3월 22일 열린 LG와 시즌 개막전에서 안타 하나를 치기는 했지만 수비에서 문제가 있었고, 아직 정상 컨디션이 아니라는 평가 속에 이날은 벤치에서 대기했다.
유강남은 26일 경기에는 아예 출전하지 않았다. 25일 경기에서 백업 포수 정보근이 공·수 모두 좋은 활약을 한 것이다. 유강남의 컨디션이 다 올라왔다는 확신이 없는 이상 굳이 26일 정보근을 뺄 이유는 없었다. 한 시즌을 치르면서 컨디션에 따라 선발 라인업이 바뀌는 것은 늘 있는 일이지만, 유강남이 4년 총액 80억 원의 대형 계약을 한 포수라는 점을 고려하면 뒷맛이 개운치 않은 일이다.
롯데의 포수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는 큰 기대 속에 2023년 시즌을 앞두고 입단한 유강남은 지난 2년간 기대에 못 미쳤다. 특히 지난해에는 부진과 부상 속에 52경기 출전에 머물렀다. 자동 볼 판정 시스템(ABS) 도입으로 유강남의 장기인 프레이밍의 가치가 상당 부분 퇴색된 지금, 공격과 수비라는 본연의 임무에서 제 몫을 해야 하는데 기다림의 시간이 길어지고 있다. 올해도 아직까지는 그 흐름을 바꿔놓지는 못하고 있는 셈이다.
아예 스프링캠프 명단에서 제외돼 큰 충격을 안긴 노진혁은 시범경기부터 지금까지 1군과 한 경기도 함께 하지 못했고, 아직 2군에서도 출전 성적이 없다. 역시 1군에 오려면 2군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추천 명단에 올라가야 하는데 기약이 없다. 당분간은 2군에 계속 머물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어떻게 보면 이렇게 못할 선수들도 아닌데, 2년이 넘는 시간 동안 실타래가 풀리기는커녕 더 꼬여가는 양상이다. 이제는 어떻게 풀어야 할지 잘 감도 잡히지 않는다. 롯데가 성적 저하와 선수단 관리 모두에서 이중고를 맞이하고 있다. 더 장기화되면 이는 올해는 물론 내년까지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더 크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