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G 박대온. 사진 | SSG 랜더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스포츠서울 | 김동영 기자] 한국야구위원회(KBO)가 2차 드래프트 규정을 손봤다. 자동 제외 대상을 넓혔다. 이적 후 의무 등록 기간도 예외를 확대했다.
KBO는 25일 2025년 제2차 이사회를 열었다. 이사회는 KBO리그 최상위 의사결정기구다. 여기서 2차 드래프트를 다뤘다. 오는 11월 열릴 예정이다.
◇2차 드래프트 지명 제외 대상 범위 확대
2차 드래프트에는 지명 대상에서 자동으로 제외되는 선수가 있다. 입단 1~3년차 소속선수, 육성선수, 군보류선수 및 육성군보류 선수다.
NC 송승환. 사진 | NC 다이노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군 복무 기간은 구단이 관여할 수 없다. 최근에는 상무가 아니라 일반 사병으로 다녀오는 경우도 많다. 사실상 잠시 야구를 놨다가 복귀한다. 거의 2년이 날아간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런 선수를 위안 일종의 안전장치를 추가했다.
KBO는 “선수들이 입대로 인해 구단이 실질적으로 육성할 기회가 많지 않았던 선수들을 추가로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서울 도곡동 야구회관에 비치된 10개 구단 연혁. 김동영 기자 raining99@sportsseoul.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2차 드래프트 1,2라운드 지명 선수는 1군 의무 등록 기간이 있다. 1라운드 지명자는 50일, 2라운드 지명자는 30일이다. 선수에게 더 많은 기회를 주기 위한 제도다. ‘데려갔으면 1군에서 기용하라’는 뜻으로 의무 등록 기간을 설정했다.
2년 중 1년이라도 채우면 된다. 2년 내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두 번째 시즌 종료 후 원 소속구단으로 복귀하거나, 자유계약선수로 공시된다. 복귀하면 양도금 50%를 반환해야 한다. 선수가 복귀를 원하지 않으면 자유계약선수가 된다.
KBO 허구연 총재. 최승섭기자 thunder@sportsseoul.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부상자 명단은 기본적으로 1군 엔트리에 등록된 선수만 등재될 수 있다. 여기에 퓨처스리그 선수 등 모든 선수가 등재될 수 있는 ‘치료·재활 선수 명단’에 30일 이상 등재된 시즌도 예외로 인정하기로 했다.
또한 선수가 2년 내 의무 등록 기준을 충족하지 못하고 임의해지선수가 된 경우 선수 복귀 시까지 의무 등록을 유예한다. 복귀 후 잔여기간 내 의무 등록을 충족하게 하도록 했다.
야구회관. 김동영 기자 raining99@sportsseoul.com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한편 2차 드래프트로 획득한 선수는 1년간 타 구단에 양도 불가했던 규정도 바꿨다. 의무 등록을 충족하였거나, 3라운드 이하 지명 선수는 양도 가능하도록 했다. raining99@sportsseoul.com
[기사제보 news@sportsseoul.com]
Copyright ⓒ 스포츠서울&sportsseoul.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