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엑스포츠뉴스 인천, 최원영 기자) 진짜 마지막이다.
흥국생명과 정관장은 8일 인천 삼산월드체육관에서 도드람 2024-2025 V리그 포스트시즌 여자부 챔피언결정전(5전3선승제) 마지막 5차전 맞대결을 치른다.
인천서 열린 1, 2차전에선 흥국생명이 2승을 쓸어 담았다. 그러나 대전서 펼쳐진 3, 4차전에선 정관장이 2승으로 반격에 성공했다. 시리즈 전적 2승2패가 되며 승부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이날 운명의 5차전에서 우승 트로피의 주인공이 결정될 예정이다.
고희진 정관장 감독은 4차전부터 돌아봤다. 그는 "우리 선수들이 볼 하나하나에 집중력을 발휘했다. 지지 않겠다는 마음이 모여 하나가 됐다는 게 확실히 느껴졌다. 그 부분에서 그래도 상대 팀보다 조금 낫지 않았나 싶다"며 "코트 안에서 서로 인상 찌푸리지 않았다. 우린 상대와 싸웠다. 하나가 돼 싸우는 모습이 정말 보기 좋았다. 그런 모습들이 투혼과 더불어 감동을 주고 있는 것 같다"고 전했다.
선수들에게 해준 말이 있을까. 시리즈 내내 강조했던 "극복!"을 외친 고 감독은 "분명 여기까지 잘 왔다. 욕심이 나겠지만 욕심을 부리는 것보다는 해보자는 간절함으로 하자고 했다"고 운을 띄웠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어 "선수들은 가슴을 뜨겁게, 코칭스태프는 머리를 차갑게 해야 한다. 우리는 냉정하게 판단해야 한다"며 "감독 및 코칭스태프가 떨 필요 없다. 경기는 선수들이 하는 것이다"고 말했다. 고 감독은 "냉정하게 상대를 바라보면서 끊어줄 때 끊어주고 경기할 때 하게끔 우리의 역할을 해줘야 한다. 차분하게 선수들을 독려하며 상대 벤치와 싸울 것이다"고 덧붙였다.
무릎 부상을 안고 있는 주전 세터 염혜선이 풀타임을 소화하며 투지를 선보이고 있다. 고 감독은 "리시브가 1차전 이후 조금 좋아졌다. 상대의 강한 서브에 대한 내성이 생긴 듯하다"며 "전술적인 부분에선 공을 밀지 말고 띄우라고 했다. 빠르게 움직이는 것보다는 여유 있게 공을 올려주는 게 낫다. 선수들에게 첫 번째 컨트롤에 대한 것을 주문했다"고 설명했다.
고 감독은 "(염)혜선이가 상대를 잘 읽고 흐름에 따라 공을 잘 배분해 주고 있다. 2020 도쿄올림픽(2021년 개최) 여자배구 4강 세터가 맞다"고 강조하며 "올림픽 4강 이후 조금 침체기를 겪다가 정관장에 와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매우 감사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올 시즌 종료 후 현역 은퇴를 예고한 흥국생명 아웃사이드 히터 김연경의 마지막 경기다. 한마디 전해달라고 요청하자 고 감독은 "우선 5차전까지 오게 해 미안하다. 많이 힘들 것이다"며 입을 열었다.
고 감독은 "김연경 선수는 신인 때부터 계속 봐왔고 정말 대단한 선수였다. 앞으로 다시 나오기 힘든, 한국 배구의 아이콘이다"며 "한국 스포츠계에서도 내로라하는 선수라 생각한다. 한국 배구를 세계적으로 알리는 데도 가장 큰 힘을 썼다. 배구인의 한 사람으로서 정말 박수쳐 주고 싶다"고 전했다.
흥국생명은 2018-2019시즌 이후 6년 만에 챔프전 우승 및 통합우승을 조준한다. 달성할 경우 5번째 챔프전 우승이자 4번째 통합우승을 이룰 수 있다.
마르첼로 아본단자 흥국생명 감독은 "이번 경기에선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좋은 배구를 하는 것만 남았다. 1차전에서 세트스코어 3-0으로 이긴 뒤 2~4차전은 모두 풀세트였다. 매 경기가 정말 대등하게 흘러갔다"며 "어떤 결과든 나올 것이라 생각한다. 그래서 긴장하진 않는다"고 밝혔다.
선수들에게 강조한 것을 묻자 "배구에 대한 이야기만 했다. 더 나아져야 하는 부분들이나 중요한 순간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말해줬다"고 답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진=엑스포츠뉴스 인천, 김한준 기자 / 엑스포츠뉴스 DB
최원영 기자 yeong@xportsnews.com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