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도 국대도 빈자리 커…“유소년 스포츠 발전 위해 다양한 활동”
흥국생명 김연경이 지난 8일 챔피언결정전 우승으로 통합우승을 확정한 뒤 메달을 들어보이며 감격하고 있다. 연합뉴스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김연경(37·흥국생명)이 2월13일 은퇴를 선언하자 “아직 잘하는데 왜 은퇴하느냐”는 질문이 쏟아졌다. 김연경은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차지하고 나서 그 답을 내놨다.
지난 8일 챔피언결정전 5차전에서 팀 내 최다 34득점을 올리며 흥국생명의 우승을 확정지은 김연경은 “우승컵을 들고 정상에서 은퇴하는 모습을 상상해왔다. 원래 원했던 마지막 모습”이라고 기쁨을 만끽했다. 우승하면서 은퇴하고 싶었고, 그 적기를 이번 시즌으로 판단한 김연경은 꿈꿨던 은퇴의 순간을 완성하고 이날로 코트를 떠났다.
챔프전 최우수선수(MVP)를 차지했고 정규리그 MVP도 유력한 김연경의 선수 경력은 ‘해피 엔딩’으로 막을 내렸다. 그러나 여자배구는 아직 ‘포스트 김연경’ 시대를 맞을 준비가 되지 않았다.
김연경의 부재는 당장 다음 시즌 V리그 흥행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올 시즌 경기별 관중 순위를 보면 1위부터 12위까지가 흥국생명 홈경기다. 흥국생명 홈 평균관중은 4562명으로 리그 평균(2545명)의 2배에 가깝다.
선수로서 마지막 염원을 이룬 ‘배구인 김연경’도 같은 고민을 안고 코트를 떠난다.
이어 “잠재력 있는 선수들은 많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발굴하고 키울지는 지도자들이 고민해야 할 부분인 것 같다”고 짚었다. 김연경은 젊은 선수들에게도 애정 어린 조언을 남겼다. 그는 “요즘 어린 선수들은 눈에 보이는 화려한 플레이를 좋아한다. 보이지 않는 기본기를 잘 다져서 좋은 선수로 성장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연경은 아직 진로를 결정하지 않았다. 우선 지난해 자신의 이름 머리글자를 따 출범시킨 ‘KYK 재단’을 통해 배구와 유소년 스포츠 발전을 위해 다양한 활동을 해나갈 계획이다. 그는 “올해 재단이 여러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어떤 방향성을 갖고 나아갈지 고민하는 시간도 갖겠다”며 “한국 배구 발전에도 보탬이 되도록 앞으로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배재흥 기자 heung@kyunghyang.com
▶ 주 3일 10분 뉴스 완전 정복! 내 메일함에 점선면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