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백기태호, 극적으로 U-17 아시안컵 4강행…북한은 인니 6-0 대파→'남북 결승전' 성사 가능성

0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스포티비뉴스=박대현 기자] 한국 남자 17세 이하(U-17) 축구대표팀이 후반 추가 시간 '극장 동점골'에 이은 승부차기 혈투 끝에 타지키스탄을 제압하고 아시안컵 4강에 올랐다.

백기태 감독이 이끄는 한국은 15일(한국시간) 사우디아라비아 제다의 프린스 압둘라 알 파이살 스타디움에서 열린 2025 아시아축구연맹(AFC) U-17 아시안컵 타지키스탄과 8강전에서 전·후반을 2-2로 비긴 뒤 진행된 승부차기에서 5-3으로 웃었다.

이번 대회는 규정에 따라 정규시간 무승부시 연장전을 치르지 않고 곧바로 승부차기에 돌입한다.

인도네시아와 대회 첫 경기를 0-1로 패해 불안한 첫걸음을 뗀 한국은 이후 3연승으로 4강행 티켓을 거머쥐었다.

한국은 '두 개의 과녁'을 조준한다. 2개 대회 연속 결승행과 23년 만에 아시안컵 우승에 도전한다.

2023년 태국에서 열린 직전 대회 결승에서 일본에 0-3으로 져 준우승에 그쳤다. 아울러 마지막 아시안컵 우승은 2002년이다. 당시 승부차기 혈전 끝에 예맨을 제압하고 트로피를 들어올렸다.

한국은 8강에서 '아시아 최강' 일본을 눕힌 개최국 사우디아라비아와 결승행을 다툰다. 오는 17일 오후 11시 오카드 스포츠 클럽 스타디움에서 킥오프한다.

스포티비뉴스

출발은 순조로웠다. 주도권을 꽉 움켜쥐었다. 백기태호는 경기 시작과 동시에 득점 기회를 잡았다.

왼 측면에서 넘어온 크로스를 타지키스탄 수비진이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다. 문전에 있던 박병찬(충남기계공고)이 오른발 슈팅으로 선제골을 꾀했지만 상대 골키퍼 정면으로 향해 무산됐다.

이후에도 한국은 타지키스탄을 몰아붙였다. 전반에만 8개 슈팅을 쏟아내며 득점을 노렸지만 아쉽게 골망을 출렁이지 못했다.

후반 21분 백 감독이 승부수를 띄웠다. 박병찬을 빼고 김지성(수원 U-18)을 투입해 공격진에 변화를 줬다.

수(手)가 통했다. 김지성은 투입 1분 만에 선제골을 도와 백 감독 믿음에 보답했다.

오른 측면에서 김지성은 반 박자 빠른 크로스를 정현웅(서울 U-18)에게 건넸다. 정현웅이 침착한 마무리로 선제 득점을 신고했다.

스포티비뉴스

호사다마. 한국은 경기 막판 연속 실점으로 코너에 몰렸다. 후반 38분 오른 측면이 뚫리면서 동점 골을 허용했다. 2분 뒤엔 역전 골까지 내줘 고개를 떨궜다.

무카마드 나즈리예프의 집중력이 빛났다. 동점 골을 낚은 나즈리예프가 후반 40분 압둘로 이브라김조다의 역전 골 도움까지 작성해 한순간에 스코어가 뒤집혔다.

패색이 짙던 한국은 후반 추가 시간 기사회생했다. VAR 끝에 타지키스탄의 핸드볼 반칙이 지적돼 페널티킥 기회를 얻었다.

키커로 나선 김지성이 2-2를 만들면서 역전패 위기에서 팀을 건져 올렸다.

승부차기는 정규시간과 달리 순탄했다. 김예건(영생고), 김지성, 김은성(대동세무고), 소윤우(충남아산 U-18), 구현빈(인천 U-18)이 차례로 골문을 갈랐다.

골키퍼 박도훈(대구 U-18)은 한 차례 선방에 성공해 한국의 4강 진출에 힘을 보탰다.

스포티비뉴스

한편 북한은 앞서 열린 인도네시아와 8강전에서 6-0으로 대파, 가볍게 4강에 선착했다.

조별리그에서 한두 수 위로 꼽힌 한국을 1-0으로 꺾는 이변으로 주목받은 C조 1위 인도네시아는 북한에 대패하며 8강에서 여정을 마감했다.

북한 전력이 만만찮다. 경기 시작 7분 만에 선제골을 낚아 리드를 거머쥔 북한은 전반 19분 달아나는 골을 더해 2-0으로 하프타임을 맞았다.

후반 역시 매서웠다. 공세를 늦추지 않고 4골을 더 몰아쳤다. 한국을 꺾는 등 조별리그 3전 전승을 챙긴 인도네시아를 상대로 공 점유율 70.1%, 슈팅 15개를 퍼붓는 압도적인 경기력을 뽐냈다.

북한의 이 대회 마지막 우승은 2014년 태국 대회다. 당시 상대가 한국이었다. 한광성 등의 활약을 앞세워 결승에서 2-1로 웃었다.

북한의 4강 상대는 아랍에미리트를 3-1로 일축한 우즈베키스탄이다. 두 팀은 오는 18일 오후 2시 15분 킹 파드 스포츠 시티 스타디움에서 결승행을 놓고 싸운다.

'남북전' 성사 가능성이 유지됐다. 한국과 북한 모두 결승까지 생존하면 대회 마지막 경기인 결승에서 남북대결이 치러진다.

<저작권자 ⓒ SPOTV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스포티비뉴스 주요 뉴스

해당 언론사로 연결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