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2 (토)

무관중 경기, 첨단 IT 응원전으로 채우자 [정철우의 애플베이스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야구장의 문이 닫히며 옛 영상을 찾아보는 것이 일상이 됐다.

가득 들어찬 관중석에서 울려 퍼지는 ‘떼창’은 그리움과 더해져 감동이 배가된다. 언제쯤 다시 그라운드의 열기를 느낄 수 있을지 안타까움만 커지고 있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일단 5월 초를 개막 시점으로 잡고 있다. 현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추이로 봤을 땐 그나마도 힘들 것으로 보여진다.
매일경제

대부분 선수들은 무관중 경기를 선호하지 않는다. 팬 없는 프로야구는 의미가 없다는 생각에서다. 완벽한 대안이 될 수는 없지만 IT 기술을 이용한다면 차선책을 찾을 수도 있다. 사진=천정환 기자


만에 하나 개막을 하더라도 무관중 경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코로나19가 그 시점까지 완전히 사라질 가능성은 없기 때문이다.

대부분 선수들은 무관중 경기를 선호하지 않는다. 팬 없는 프로야구는 의미가 없다는 생각에서다.

만원 관중 속 경기력과 텅빈 관중석에서 펼쳐지는 경기의 수준은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관중의 함성은 선수들의 플레이를 끌어올릴 수 있는 최고의 약이다.

무관중으로 시즌이 개막된다면 반쪽짜리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선수들에게 집중력을 요구하기 어려운 상황에 놓이게 될 것이다.

완벽한 대안이 될 수는 없지만 IT 기술을 이용한다면 차선책을 찾을 수도 있다. 첨단 기술을 동원해 팬들의 목소리를 그라운드로 되살릴 수 있을 것이다.

응원단장이 응원을 리드하고 팬들은 유무선 응원전에 참여해 목소리를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볼 만 하다.

이미 한화는 수년 전 로봇 관중을 만들어 화제가 된 바 있다. TV나 영상을 통해 야구를 접하는 팬들이 직접 응원에 참여하는 방법은 기술의 힘을 빌린다면 얼마든지 찾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프로야구가 개막되면 미국 등 야구 선진국 등에서 관심을 보일 가능성이 높다. 인터넷 중계로 한국 야구를 접하게 될 외국의 팬들에게 한국의 응원 문화와 앞선 기술을 알릴 수 있는 장이 될 것이다.

특히 이럴 때 앞선 IT 기술을 이용해 팬들의 응원을 선수들에게 전하는 장면이 전해진다면 IT 강국의 이미지를 더욱 선명하게 굳힐 기회가 될 것이다.

이미 우리는 마스크 쓴 연습 경기를 통해 전 세계에 방역 선진국임을 덤으로 선전한 바 있다. IT 응원 또한 같은 의미로 세계에 전달될 수 있다.

특히 프로야구는 통신 그룹을 비롯해 첨단 기술을 앞세운 기업을 모기업으로 하는 팀들이 많이 포진해 있다. IT 응원전은 그들의 앞선 기술을 활용할 기회가 될 수 있다.

지금 KBO와 구단들이 할 일은 당장 개막을 앞당기려는 노력에만 그쳐선 안 된다. 최대한 팬들이 즐길 수 있고 선수들도 개막의 열기를 느낄 방법까지 고민해야 할 때다.

첨단 기술을 이용해 그 길을 찾을 수 있다면 지금부터라도 준비에 들어가야 할 것이다.

정철우 MK스포츠 전문위원

[ⓒ MK스포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