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본능적 투혼의 스포츠, 격투기

선배도 '절레절레'... 최강자 만난 김상욱, 반전 UFC 입성 도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MHN스포츠

사진=UFC 제공, 김상욱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UFC 선배도 고개를 저을 정도의 강적, 그러나 김상욱이 깜짝 UFC 입성에 도전한다.

김상욱은 오는 8월 27일(이하 한국시간) 싱가포르 인도어스타디움에서 열리는 ROAD TO UFC 시즌 2 라이트급(70.3kg) 준결승에서 전 UFC 파이터 롱주와 결승행 티켓을 놓고 격돌한다.

ROAD TO UFC는 아시아 최고 유망주들이 UFC 계약을 놓고 겨루는 8강 토너먼트다. 이번 준결승은 8월 26일 같은 장소에서 열리는 'UFC 파이트 나이트: 할로웨이 vs 코리안좀비' 파이트위크의 대미를 장식한다.

김상욱은 지난 5월 28일 중국 UFC 퍼포먼스 인스티튜트 상하이에서 열린 ROAD TO UFC 시즌 2 오프닝 라운드에서 마루야마 카즈마(31, 일본)를 단 1라운드 만에 다스초크 서브미션으로 제압하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번 상대 롱주는 이미 UFC 경험(1승 2패)이 있는 강력한 타격가다. 아시아 최강 밴틈급(61.2kg) 파이터 송야동(25, 중국)과 같이 훈련한다. 지난 오프닝 라운드에서는 한국의 홍성찬(33)을 경기 시작 2분 17초 만에 라이트훅에 이은 그라운드 앤 파운드로 피니시했다. 이번 시즌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힌다.

이번 준결승을 프리뷰한 UFC 라이트급 베테랑 마동현은 "롱주가 판정으로 이길 것 같지만 김상욱을 응원한다"고 전했다. 그는 김상욱에 대해 "매 경기 발전하는 선수로 그래플링과 케이지 컨트롤이 장점이며 체력도 좋아 롱주를 충분히 힘들게 할 수 있다"고 칭찬하며 "상대가 지쳤을 때 깜짝 서브미션을 노리는 게 좋을 거 같다"고 조언했다.

상대 롱주에 대해서는 "타격실력이 엄청나다. 임팩트나 타이밍이 토너먼트 참가자 중에 제일이라고 본다. 경험이나 전적도 훌륭하기 때문에 우승후보 1순위라 생각한다"고 높이 평가했다.

모두가 롱주의 승리를 점치지만, 롱주가 패한 경기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롱주는 역대 기록한 5번의 패배(23승)에서 단 한 번의 판정패를 제외한 모든 패배를 서브미션으로 허용했다.

특히 직전 패배였던 2022년 2월 UFC 파이트나이트 202 마카체프-그린 이벤트에서는 키스 피터슨에게 타격으로 우위를 점했으나, 이를 굳건히 버텨낸 피터슨에게 3라운드에서 1분 40초만에 브라보 초크를 허용하며 백기를 들었던 바 있다.

전 UFC 라이트급 챔피언 하파엘 도스 안요스(38, 브라질)의 의견도 이를 반증했다.

그는 "롱주는 많은 피니시를 기록한 경험 많은 파이터로 강력하게 경기를 시작할 것"이라며 "승리하기 위해 김상욱은 압박을 잘 견딜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는 말과 함께 김상욱이 롱주의 초반 압박을 조심해야 한다는 의견을 전했다.

마동현은 지난 3월 목디스크(추간판탈출증) 수술을 받은 후 하반신 마비가 와 재활에 전념하고 있다. 최근엔 두 다리로 직접 걷기 시작하며 자신을 응원해준 팬들에게 기적을 보여주고 있다.

마동현은 지난 2015년 서울에서 열린 'UFC 파이트 나이트: 헨더슨 vs 마스비달' 대회에서 부상으로 빠진 임현규(38)의 대체 선수로 들어와 UFC에 데뷔했다. UFC 통산 3승 5패를 기록하며 4년간 활약했다. 프라이드FC 출신 레전드인 고미 다카노리(44∙일본)에 레퍼리 스톱 TKO승을 거두기도 했다.

UFC 직행자인 그는 일종의 UFC 아시아 예선인 ROAD TO UFC가 아시아 종합격투기(MMA) 유망주들에게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UFC에 직행하는 것 보다 ROAD TO UFC를 거치는 게 UFC 관계자들과 아시아 팬들에게 검증을 받고, 눈도장을 찍을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생각한다"며 "아시아 선수가 UFC 본무대에서 얼마나 좋은 활약을 펼칠지 큰 기대를 받을 수 있다"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Copyright ⓒ MHN스포츠 / MHN KPOP 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